“평생직장 옛말이라지만, 잘리고 보니 노후보다 당장 내일이 깜깜”

“평생직장 옛말이라지만, 잘리고 보니 노후보다 당장 내일이 깜깜”

입력 2013-11-15 00:00
업데이트 2013-11-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태순 선임기자의 5060 리포트] 실직 후 가장 먼저 찾는 그곳, 고용센터 실업급여 설명회 가다

실직자가 되면 가장 먼저 찾는 곳이 고용노동부 고용안정센터다. 이곳에서 실시하는 실업급여 설명회를 듣고 실업자로 등록한 뒤 구직활동을 해야 실업급여가 지급되기 때문이다.

서울 관악고용노동센터 2층 교육장에서 열린 실업급여 설명회에서 실직자들이 강사의 말에 따라 관련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서울 관악고용노동센터 2층 교육장에서 열린 실업급여 설명회에서 실직자들이 강사의 말에 따라 관련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이미지 확대
기온이 뚝 떨어진 지난 11, 12일 서울 중구 장교동 서울고용센터와 구로구 디지털로 서울관악고용센터에서 열린 실업급여 설명회를 둘러봤다. 실업급여 설명회는 두 곳 말고도 전국 각지에 있는 80여개 고용안정센터에서 날마다 오후 2시부터 두 시간 남짓 계속된다. 올 들어 10월까지 78만 4000여명이 신규로 실업급여를 신청했으니 최소한 이보다 더 많은 인원이 교육장을 찾은 셈이다. ‘평생고용’ ‘평생직장’은 옛말이 됐고 ‘상시고용’ ‘상시퇴출’의 시대가 일상화됐음을 새삼 실감하게 된다.

관악고용센터 2층에 마련된 실업급여 설명회 교육장에는 마감 30분 전인데도 이미 100여명이 들어섰다. 2시가 가까워지면서 40여명이 더 들어와 150명에 육박했다. 아기를 안고 가장 늦게 입장한 30대 주부에게는 출구쪽 자리가 따로 배정됐다. 220개 좌석의 3분의2를 채운 것이다. 구로, 관악 등을 관장하는 관악고용센터는 서울 북부고용센터와 함께 관내가 넓어 교육장은 항상 붐빈다.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람으로 경영악화 등으로 해고됐을 경우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자발적으로 회사를 그만둔 사람은 수급자격이 없으니 돌아가세요.” 강사의 설명이 시작되자 교육생들은 귀를 쫑긋 세운다.

교육장은 마치 대입시험을 앞둔 고3 교실처럼 금세 조용하고 진지해진다. 교육은 실업급여 지급 절차, 실업급여 신청방법 등 실무적인 것은 물론 고용보험,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등 전문적인 내용도 곁들여진다. 교육생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히 본인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와 언제, 어떻게 받을 수 있느냐는 것.

“파견근로자로 일했는데 최종이직 사업장은 어디로 써야 하나요.” “건설현장에서 일용직으로 일했는데 퇴직일을 언제로 잡아야 하나요.” 노동시장이 복잡해진 때문인지 교육생들의 까다로운 질문이 쏟아진다. “다단계 판매원은 자가소비확인원을 보내 달라고 하세요.” “실업급여는 신용불량자도 받을 수 있으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통장을 만드세요.” “자영업자가 되면 조기 재취업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직기간 중 아르바이트를 했으면 알려 주세요.” 강사들이 여러 가지 경우의 수에 일일이 답해 주자 머리를 끄덕인다.

설명회장은 50대가 많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20대 청년과 30~40대 중년, 50대의 장년층까지 다양하다. 여성들도 20대부터 50대까지 골고루 분포돼 있다. 실직은 성별과 연령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것이다. 교육장 분위기는 무겁지만 침울하지는 않다.

이곳에서 단시간 근로자로 실업급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김신연(35·여)씨는 “젊은층들은 직장을 자주 옮기는 데다 이직하면서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등 전직기간을 일종의 브리지기간으로 활용한다”면서 “고용 형태가 다양화되면서 1, 2년마다 직장을 그만두고 재취업하는 사람들도 많아 실직을 무덤덤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러나 가정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50대 이후의 장년층은 실직의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다. 중견기업에서 관리직으로 일하다 권고사직을 당했다는 이모(53·관악구 성현동)씨는 “당장의 생활비는 물론 대학생인 딸과 고3 수험생인 아들의 학비를 생각하면 머리가 아프다”면서 “이번이 두 번째 실직인데 종사하고 있는 직종이 사양업종이어서 재취업이 될지 모르겠다”며 긴 한숨을 내쉬었다. 80만원을 받다 일을 못해서 ‘짤렸다’는 50대 아줌마는 “내일이 걱정이지 노후는 생각도 못한다”고 말했다.

서울고용센터 교육장도 마찬가지다. 지난 7일에는 34명이 교육장을 찾았는데 남자가 15명, 여자가 19명으로 여성이 오히려 더 많았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50대가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7명, 20대 6명, 40대 5명, 60대 이상 4명이었다. 8일에는 남자 11명, 여자 10명 등 21명이 교육을 받은 가운데 50대와 30대가 각 6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4명, 60세 이상이 3명, 20대가 2명이었다.

실업의 일상화는 다른 통계로도 확인된다. 실업급여사업 현황을 보면 지난 9월 한 달간 실업급여 자격을 인정받은 사람은 5만 6944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남자 2만 8616명(50.25%), 여자 2만 8328명으로 성별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1만 5883명(27.9%)으로 가장 많았으나 40대 1만 2674명(22.3%), 50대 1만 2137명(21.3%), 20대 1만 635명(18.7%)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0대 이상은 5615명(9.9%)이었다.

한편 실업급여 동향을 보면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6만 9000여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00명 늘었으며 구직급여는 30만 8000명에게 모두 2927억원이 지급됐다. 10월까지 구직급여 누계액은 101만 5000여명에 3조 1116억원에 이른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3%, 6.0% 증가해 고용상황이 좋지 않음을 말해 주고 있다.

stslim@seoul.co.kr

2013-11-15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