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 따라잡는 일반고 비법 ] 영동고 등 교내 프로그램 강화 성과… 대입정책 흔들릴 땐 위기 맞을 수도
비교과 비중이 커지는 방향으로 대입의 경향이 바뀌면서 일반고가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다. 일반고 위기론의 해법을 ‘비교과’에서 찾아 자사고나 특목고에 버금가는 실적을 내놓은 고교도 늘고 있다. 교육부가 정책을 자주 바꾸지 않고 꾸준히 일반고에 지원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자율형사립고(자사고)가 생겨나면서 과학고와 외국어고 등 특목고에 진학하지 못했던 학생들이 일반고 대신 자사고로 향했다. 이런 학생들이 일반고로 유입되면서 일반고가 위기를 맞았다는 내용이다. 일반고 3배 이상의 학비를 받기 때문에 ‘귀족 학교’라는 비판을 받았던 자사고의 약진은 당연한 결과였다. 자사고와 특목고는 우수한 학생들을 바탕으로 학교 차원에서 예술, 봉사, 연구, 운동 같은 다방면의 비교과 활동을 지원한다.
하지만 최근 자사고를 능가하는 일반고들이 두각을 보이고 있다. 경기 용인의 수지고나 서울 강남구의 영동고는 비교과 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때문에 지방의 일반고들이 올라와 교내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해 가는 일도 흔하다. 일부 대학들도 이 학교에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 강기태 영동고 연구부장은 “비교과 전형의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3년 전부터 학교 내 프로그램들을 강화해 온 게 주효했다”며 “학생들의 수준을 탓하지 말고 학교가 나서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학교에서 여러 활동을 강화하는 정부의 정책과 수시에서 먼저 우수한 학생들을 선점하려는 대학의 뜻이 결합하면서 반사이익이 늘어난 까닭도 있다”며 “일반고에 대한 지원을 더 확대하고 대학들이 이들을 적극적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정부가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정부가 대입정책을 만들면 성급하게 고치지 않는 일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대입제도가 수시로 바뀌면 그나마 형성됐던 일반고 활성화 분위기도 급랭할 수 있다는 뜻이다. 서울 구로구의 한 일반고 교사는 “특목고나 자사고를 따라잡는 일반고가 생겨나고 있지만 수능을 비롯한 대입정책이 흔들려 버리면 일반고는 또다시 특목고, 자사고와 ‘불공평한’ 경쟁을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3-2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