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명 관광명소가 케이블카 설치를 놓고 찬반으로 시끄럽다. 지역 관광 활성화를 앞세운 찬성과 환경 훼손을 우려한 반대가 맞서고 있다. 기자회견에 이은 반박에 반박은 물론 장외 실력행사까지 벌이면서 전쟁을 방불케 하고 있다.
10일 지자체 등에 따르면 울산 울주 신불산 로프웨이, 경남 사천 바다 케이블카, 전남 목포 해상 케이블카, 대구 팔공산 갓바위 케이블카, 강원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전북 남원 지리산 케이블카 등의 건설을 두고 찬반양론이 팽팽하다. 빠른 곳은 연내 환경영향평가와 실시설계를 거쳐 내년 착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환경 훼손 등을 우려한 시민·환경·종교단체의 반대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침체된 전통 제조업의 대안으로 ‘굴뚝 없는 산업’인 관광이 뜨고 있다. 이는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찾는 지자체가 케이블카 사업에 매달리는 이유다. 하지만, 케이블카 설치가 쉽지만은 않다. 환경영향평가 등 까다로운 행정절차를 통과해도 시민·환경·종교단체의 반대를 극복하지 못하면 추진이 어렵다.
지자체들은 2008년 4월 19일 운행을 시작한 통영 케이블카를 성공 사례로 들며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통영 케이블카는 17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설치한 이후 첫해 4억 3000만원 흑자를 시작으로 연간 15억~36억원 규모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케이블카 이용객이 늘면서 지역경제에도 큰 힘이 되고 있다. 하지만 케이블카가 모두 성공한다는 보장도 없다.
이상호 부산대 관광학과 교수는 “통영 케이블카가 성공하면서 지자체들의 눈이 ‘케이블카 상품’에 쏠리고 있다”면서 “케이블카는 세수 확보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최고의 상품으로 뜨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교수는 “경제논리로만 케이블카 설치를 밀어 붙이면서 지역사회의 갈등을 초래하게 된다”면서 “사업 추진에 앞서 토론회나 공청회 등으로 지역사회의 합의를 먼저 이끌어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최근 침체된 전통 제조업의 대안으로 ‘굴뚝 없는 산업’인 관광이 뜨고 있다. 이는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찾는 지자체가 케이블카 사업에 매달리는 이유다. 하지만, 케이블카 설치가 쉽지만은 않다. 환경영향평가 등 까다로운 행정절차를 통과해도 시민·환경·종교단체의 반대를 극복하지 못하면 추진이 어렵다.
지자체들은 2008년 4월 19일 운행을 시작한 통영 케이블카를 성공 사례로 들며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통영 케이블카는 17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설치한 이후 첫해 4억 3000만원 흑자를 시작으로 연간 15억~36억원 규모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케이블카 이용객이 늘면서 지역경제에도 큰 힘이 되고 있다. 하지만 케이블카가 모두 성공한다는 보장도 없다.
이상호 부산대 관광학과 교수는 “통영 케이블카가 성공하면서 지자체들의 눈이 ‘케이블카 상품’에 쏠리고 있다”면서 “케이블카는 세수 확보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최고의 상품으로 뜨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교수는 “경제논리로만 케이블카 설치를 밀어 붙이면서 지역사회의 갈등을 초래하게 된다”면서 “사업 추진에 앞서 토론회나 공청회 등으로 지역사회의 합의를 먼저 이끌어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5-04-1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