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경선룰 갈등봉합…결선투표 유불리는

민주 경선룰 갈등봉합…결선투표 유불리는

입력 2012-07-18 00:00
업데이트 2012-07-18 17: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이 18일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해 도입키로 확정한 결선투표제가 후보 간 유불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사다.

결선투표제 도입은 경선의 역동성과 가변성을 높임으로써 국민적 흥행요소를 추가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다.

종전까지만 해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상임고문의 지지율이 다른 주자들을 합친 것보다 높아 이변이 없는 한 문 고문이 승리할 것이라는 관측이 높았던 것이 사실이다.

일례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9~13일 전국의 유권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신뢰도 95%에 오차 ±2.5%)를 보면 문 고문이 17.9%로, 김 전 지사(5.3%), 손 고문(3.0%), 정 고문(0.3%)의 지지율을 더한 것보다 높았다.

그러나 결선투표가 도입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우선 전국 순회 경선 과정에서 손학규 정세균 상임고문, 김두관 전 경남지사 등 ‘비문(非文ㆍ비문재인)’ 후보들이 결선투표를 염두에 둔 연대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후보들이 개별적으로 문 고문을 공략하는 것보다는 공동전선을 형성해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뜻이다.

여기에다 결선투표에서 비문 후보들이 연대를 할 경우 지지율을 단순 합산한 이상의 효과를 낼 수도 있다.

결선투표가 치러지면 2~3위권을 형성한 김 전 지사와 손 고문이 이득을 볼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손 고문 측은 결선투표제가 도입되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문 고문에게만 고정된 국민의 눈길이 자신에게로 옮겨와야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다.

김 전 지사 측은 출마선언 이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지지율 5%를 돌파해 당내 후보 지지율 2위로 올라선 만큼 결선투표의 최대 수혜자는 김 전 지사라고 강조하고 있다.

반론도 있다. 비문 후보간 연대가 이뤄지더라도 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정파나 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당내 선거와 달리 결선투표는 국민이 대거 참여하는 완전국민경선이기 때문에 조직표의 효과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 비문 후보들의 연대는 정책이나 노선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경선룰 협상 과정에서 문 고문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기 때문에 결선투표 때도 단일대오를 유지할 것인지를 의문시하는 시각도 있다.

문 고문 측은 비문 후보들이 요구한 결선투표제 수용이라는 결단을 통해 오히려 지지세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문 고문은 이날 조계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결선투표제가 주는 비용이나 시간, 그런 부분에 부담이 있는 것이지, 나에게 불리하다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한편 민주당이 이날 오후 당무위원회를 열어 전날 밤 최고위원회가 마련한 경선룰을 원안대로 의결한 이후 경선룰 갈등도 급격히 해소되는 양상이다. 일주일 넘게 끌어온 경선룰 갈등이 봉합된 것이다.

비문 후보들은 당무위 개최 직전만 해도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의 가중치를 똑같이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당무위 개최 연기를 요구하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경선 불참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김 전 지사 측 전현희 대변인은 당무위 의결 직후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간다는 것은 아쉽지만 일정상 당무위 안을 수긍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고, 정 고문 측 이원욱 대변인도 “당에서 결정했다면 따라야 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