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심파원 징계수위 놓고 친노-비노 계파갈등 재연
새정치민주연합 최인호 혁신위원이 10일 비노(비노무현) 성향의 부산 3선인 조경태(부산 사하을) 의원에 대한 당 윤리심판원의 ‘서면경고’에 대해 “정치적 면죄부”, “지극히 정치적 심판결과”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정청래 김경협 의원에 대한 징계결정과의 형평성 문제를 들어 정면으로 반기를 든 것이다. 부산 사하갑 지역위원장인 최 혁신위원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부대변인 출신으로 친노(친노무현)계로 꼽힌다.
당 소속 의원의 징계문제를 둘러싼 당내 계파갈등에 혁신위원까지 뛰어들면서 논란이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최 혁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 “이 글은 정청래, 김경협 의원을 옹호할 의도로 쓰는 글이 아니다”라고 전제한 뒤 “윤리심판원의 심판결과가 매우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떤 성향을 가졌던 의원들에게는 내년 총선불출마를 못하는, 정치적 사형선고에 해당하는 징계판결을 내렸거나 내릴 예정이고, 또 다른 성향을 가진 의원에게는 사실상 정치적 면죄부를 주는 판결을 내렸다. 지극히 정치적인 심판결과”라며 ‘김상곤 혁신위원회’를 향한 “문재인 대표의 전위부대”라는 비난 등이 문제가 된 조 의원에 대한 징계결과를 정조준했다.
그러면서 “누구 또는 어느 분들의 눈치를 본 것이냐고 윤리심판원에게 비난조로 질문 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그러나 그 이유는 정확히 알고 싶다.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당기강을 바로 잡는 것을 혁신과제 1호로 설정하고 노력해온 혁신위원으로서도 꼭 알아야 할 일이지만, 18년간 당을 지켜온 당원으로서 심각한 자괴감과 무력감에 빠진 나 스스로를 위해서라도 정확히 알고 싶다”며 “윤리심판원은 당원과 국민에게 명확한 답을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윤리심판원장과 위원을 임명한 대표도 공식반응을 내놔야 한다”며 “ 독립적이라서 반응을 내놓지 못한다고 한다면 책임회피”라고 문 대표와 안병욱 윤리심판원장에도 공식 입장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안 윤리심판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건 충분히 가능하지만, 정치인이 자신의 소신과 정책에 대해 발언하는데 제약을 두면 안된다는 것, 그렇지만 철저하게 선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두 가지 전제로 삼아 고심에 고심을 거듭한 결과”라며 “말로 인한 파문이라는 점은 비슷하지만 세 사람의 발언은 내용에 있어선 분명히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지금 야당 상황이 복잡하게 된 이유가 계속 친노, 비노 (갈등구조)로 내부에서 말을 키워가는 것인데, 혁신위원이 논쟁에 끼어들면 오히려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만큼 삼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비노 초선인 최원식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계파타파를 위해 일하는 혁신위원은 계파 문제에 대해 중심을 잘 잡아야 한다”며 “자신과 생각이 다르다고 해서 윤리심판원 결정에 문제를 삼는 것은 계파 타파가 아닌 계파정치의 민낯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