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5일 밤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예고 등과 관련해 대응방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 간 통화는 지난달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 달 만에 중국측의 요청으로 이뤄졌으며, 저녁 9시쯤 시작해 45분간 진행됐다.
박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 결의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채택하는데 있어 중국 측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 동북아와 세계 평화에 위협을 가하는 행위로, 이번만큼은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하고 실효적인 결의를 유엔 안보리에서 채택하는 등 국제사회의 단호한 메시지가 신속히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북한에 대해 다양한 수단을 가진 중국측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다만 청와대는 중국과의 협의를 거쳐서 시 주석의 발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한중 양국은 상호양해 아래 자국정상 언급을 중심으로 발표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중국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등 이른바 ‘북핵 3원칙’을 내세우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논의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여왔다.
그러나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예고하는 등 추가 도발 가능성이 커진 시점에 한중 정상이 전화통화를 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중국측의 입장이 주목된다.
특히 북핵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지난 2일 북한을 방문한 당일 북한이 ‘위성발사’라고 주장하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계획을 기습발표한 것도 양 정상간 통화 성사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 다음날인 지난달 7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연쇄통화를 갖고 ‘포괄적이고 강력한 대북제재’ 방안 마련에 의견을 모은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중국이 대북제재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자 주한 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북한을 뺀 북핵 5자 회담 검토 등을 언급하며 중국의 적극적인 대북제재 동참을 촉구해왔다.
역대 네차례의 북한 핵실험 이후 한중 정상간 통화가 이뤄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06년 10월 1차 핵실험, 2009년 5월 2차 핵실험, 2013년 2월 3차 핵실험 직후 양국 정상간의 통화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
또한, 시 주석이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 문제를 놓고 외국 정상과 통화를 하는 것도 박 대통령이 처음이다.
앞서 시 주석은 지난달 28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한반도 핵문제를 거론하며 “서로 충돌하지 말고 존중해나가자”고 언급한 바는 있으나 북핵실험 등에 대한 직접적인 메시지는 내놓지 않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