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언제오나
文 “본격 남북 오가는 시대 연다는 의미”북미 간 종전선언 조성 땐 서울회담 기대
북미관계 답보 돌파구로 방남 가능성도
삼지연공항 도착한 文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백두산 방문을 위해 북한 양강도 삼지연공항에 도착하자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백두산 사진공동취재단
백두산 사진공동취재단
문 대통령은 20일 평양 남북 정상회담 대국민 보고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남북 정상회담의 정례화라는 의미와 함께 남북이 본격적으로 서로 오가는 시대를 연다는 의미”라면서 “우리 국민께서도 김 위원장을 직접 보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번영에 대한 그의 생각과 의지를 육성을 통해 듣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는 북한 비핵화와 체제 보장을 위한 북·미 협상의 진척 정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미가 북한의 비핵화 초기 조치와 미국의 북한 체제보장 초기 조치를 교환해 종전선언을 할 분위기가 어느 정도 조성됐을 때 서울 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이라며 “북한 최고지도자가 처음 방남하는데 북·미 관계의 진전 없이 다시 남북 정상회담을 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 초기 조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면 국내 사회도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에 대해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루고 김 위원장의 방남도 호의적으로 바라볼 것”이라고 했다.
반면 북·미 관계가 답보 상태를 보이거나 악화될 경우 이를 타개하고자 김 위원장이 전격 방남할 수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중재자 역할을 다시 한번 요청하고자 남북 정상회담을 열 수 있다”며 “북·미 협상이 김 위원장 답방 시기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어도 김 위원장 답방 자체를 무산시키는 변수로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성사된다면 시기는 준비 기간을 고려할 때 10월 말 또는 12월 초가 될 가능성이 있다. 11월에는 미국 중간선거(6일)는 물론 아세안·동아시아정상회의(11~15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17~18일), G20 정상회의(30일~12월 1일) 등 다른 정상외교 일정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12월 중순 이후로는 날씨가 본격적으로 추워져 답방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하지만 타이밍상 꼭 필요하다면 11월 중 자투리 시간이나 12월 중순 이후라도 양측이 답방을 합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두 정상의 회담은 이미 실무적·실용적 단계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8-09-2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