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통일 인식] 청년층 “경제·안전 위해 통일 필요”… 절반 이상 “통일세 내겠다”

[청년들의 통일 인식] 청년층 “경제·안전 위해 통일 필요”… 절반 이상 “통일세 내겠다”

이근홍 기자
입력 2018-11-27 22:14
업데이트 2018-11-28 09: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에 대하여

63% “통일에 관심”…37% “관심 없다”
민족화해보다 실용주의 관점서 바라봐
절반 이상 “불과 1년 뒤 통일돼도 찬성”
이미지 확대
대학생들은 통일을 민족화해의 측면보다는 실용주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실(위원장 강석호 자유한국당 의원)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한국 경제의 성장을 위해’(33.3%)와 ‘남북 간의 전쟁 위협을 없애기 위해’(28.7%)라는 응답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반면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18.6%), ‘이산가족의 고통을 해결해 주기 위해’(11.1%), ‘북한주민도 잘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5.9%) 등의 응답은 미미했다.
이미지 확대
통일을 이루기 위해 ‘북한의 개방과 개혁이 시급하다’(76.1%)는 의견은 ‘시급하지 않다’(23.9%)보다 많았고, ‘남북 경제협력이 시급하다’(67.8%)는 답도 ‘시급하지 않다’(32.2%)를 앞질렀다. 통일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지금도 크게 불편하지 않아서’(28.9%), ‘사회혼란이 오기 때문에’(24.1%), ‘통일비용이 너무 많이 소모돼서’(23.7%) 등을 꼽았다.

통일세 납부 의지에 대해서는 ‘있다’(53.5%)라는 대답이 ‘없다’(42.3%)보다 많았다. 실용적 측면에서 통일을 위한 비용을 기꺼이 낼 의향이 있다는 의견이 더 많은 것이다.

통일 자체에 대한 관심도도 높게 나왔다. ‘통일에 관심이 있다’가 63.3%로 ‘관심이 없다’(36.7%)를 상회했고 통일에 대해서도 ‘필요하다’(52.8%)는 의견이 ‘필요하지 않다’(26.1%)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만약 1년 후 통일이 된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4.6%는 ‘찬성할 것’이라고 답해 ‘반대할 것’(35.4%)이라는 의견을 월등히 앞섰다. 이는 대학생이 통일에 부정적일 거란 일반적 인식과 상반되는 결과로 한반도 평화에 있어서만큼은 젊은층도 뜻을 함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통일에는 긍정적이지만 그 시점은 멀리 내다봤다. 응답자들은 통일 가능 시기로 ‘31년 이상~40년 이하’(21.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2018-11-28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