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 경제발전은 월남 파병 대가 참전수당, 최저생계비까지 올려달라”

“70년대 경제발전은 월남 파병 대가 참전수당, 최저생계비까지 올려달라”

입력 2012-06-20 00:00
업데이트 2012-06-20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창호 월남전참전용사회 사무총장

윤창호(66) 월남전참전용사회 사무총장은 “정부는 참전 용사들에게 빚을 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오늘날 고속도로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월남전 참전용사들 덕분”이라고도 했다.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8년부터 1970년까지 2년여에 걸쳐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월남 파병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받은 돈을 여기에 투입했다는 것이다. 윤 사무총장은 “이 때문에 경부고속도로 건설 이후 일군 경제 발전은 전우들의 목숨과 맞바꾼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윤창호 월남전참전용사회 사무총장
윤창호 월남전참전용사회 사무총장
윤 사무총장은 “먹고살만 하니까 참전 용사들에 대한 고마움을 잊는 것 같아 아쉽다.”면서 “정부의 보훈제도도 6·25 참전용사들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월남전 참전용사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월남 파병 당시 정부는 ‘돌아오면 영웅으로 예우해 주겠다’고 약속했으나 모두 감언이설이었다.”고 돌이켰다. 해외파병 수당까지 정부가 떼먹었다는 것이다. 그는 “파병 당시 전투수당은 병장 기준으로 1년에 250달러였는데, 실수령액은 54달러에 그쳤다.”면서 “정부가 80%나 떼갔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필리핀이나 미군들의 수당은 우리보다 10배 이상 많았다.”고 덧붙였다. 윤 사무총장은 “환율, 금리 등을 모두 따져 계산하면 1년 파병 수당이 현재 2억원 수준”이라고 말했다.

현재의 보훈제도와 관련, 윤 사무총장은 “월 12만원에 불과한 참전명예수당도 터무니없는 액수인데, 그나마 만 65세 이상에 한해서만 제공되는 것은 가혹하다.”고 주장했다. 참전용사와 가족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배려가 전혀 없다는 것이었다. 그는 “전쟁 후유증 때문에 경제적 활동을 하지 못하는 전우가 많다. 이를 감안해 참전명예수당을 최저생계비 수준까지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2014년이면 월남 파병 50주년인데 기념회관은 물론 기념비조차 없다.”면서 “정부가 나서서 기념공원과 회관, 기념비라도 하나씩 만들어 줬으면 한다.”면서 “전국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혜택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월남전 참전이 돈을 벌기 위한 자발적 선택 아니었느냐.”는 물음에 그는 “처음에는 자원을 받아 참전했지만 지원자가 줄자 나중에는 정부가 강제 차출제도를 도입해 공 차며 놀다가 끌려간 사람도 한둘이 아니다.”라면서 “월남 파병 용사들을 용병으로 매도하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06-20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