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1981년 남북회담문서 공개
단일팀 구성 등 무조건 대화 제의
北, 남한 신군부가 권력 잡자 ‘돌변’
1980년 3월 4일 남북한 국무총리 회담을 위한 3차 실무대표 접촉. 통일부 제공
통일부는 1979년 1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정치와 체육 분야 남북회담문서를 담은 ‘남북대화 사료집’ 제9권과 제10권 중 965쪽 분량을 28일 공개했다.
북한은 12·12 군사반란 직후인 1980년 1월 1일 신현확 당시 국무총리에게 이종옥 정무원 총리 명의 서한을 보내 “직접 만나 격의 없는 의견을 서로 나누자”고 제의했다. 매우 이례적으로 남한의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칭했다.
조국통일평화위원장인 김일 부주석 명의로 당시 김종필 민주공화당 총재, 김영삼 신민당 총재, 윤보선·김대중·함석헌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민족연합’ 공동의장, 김수환 추기경 등과 12·12 군사반란의 핵심 인물인 이희성 육군참모총장에게도 같은 취지의 편지를 보냈다.
앞서 1979년 12월 20일부터는 모스크바 올림픽에 함께 나가자며 그해 3월 중단됐던 남북단일팀 구성을 위한 대표 회담을 다시 재촉했다. 1976년 8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으로 끊겼던 남북 직통전화도 3년 6개월 만에 이어졌다. 사료집에는 “북한이 혼란을 틈타 자신들에게 유리한 여론과 세력을 조성하려는 ‘위장 평화 공세’를 펼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평가가 실렸다.
그러나 신군부가 1980년 5·17 비상계엄을 선언하며 권력을 장악하자 북한은 본색을 드러냈다. 당국 간 대화에서 5·18에 대해 “군사 쿠데타”, “혈육이 총칼에 짓밟히는 것”이라며 비판했고 “전두환도 살인의 괴수이며 민족의 백정”이라면서 실명 비난을 이어 갔다. 1980년 2월부터 10차례 이어진 남북총리회담을 위한 실무 접촉은 1980년 8월에 끝났고 남북 직통전화도 그해 9월 25일 다시 끊겼다.
2023-12-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