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미국 알래스카에서 훈련중이던 KF-16 전투기가 이륙 과정에서 파손된 상태로 미 아일슨 공군기지활주로에 있다. 페이스북 캡처
미국 알래스카에서 발생한 공군 KF-16 전투기 사고가 조종사 과실에 의한 것으로 12일 조사됐다. 지난 3월 경기 포천시 오폭 사고, 4월 기총포드·연료탱크 낙하 사고에 이어 또다시 조종사의 실수로 사고가 발생하면서 공군은 기강 해이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공군에 따르면 전날 KF-16 전투기 사고는 조종사가 활주로가 아닌 유도로(활주로 이동 시 이용하는 도로)에서 이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유도로를 활주로로 착각한 1번기(단좌)를 따라 2번기(복좌)와 3번기(단좌)가 진입했고 1번기가 이륙한 것을 본 미 공군 관제탑에서 2번기에 이륙 취소를 지시했다. 2번기 조종사들이 전투기를 정지시키려 했으나 유도로가 짧은 탓에 비포장 풀밭으로 넘어갔고 기체에 화재가 발생해 결국 비상탈출했다. 이번 훈련에 참가한 조종사들은 지난 3월에 최종 결정됐고 기지 특성과 이륙 절차 등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반복적으로 사전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한 아일슨 기지가 우리 군 기지와 달리 활주로와 유도로의 폭이 같고 우리 군 기지 활주로보다 2배가량 넓어 착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군 관계자는 “1번기 조종사의 오인으로 활주로를 착각했고 다른 편조들도 들어갔다”면서 “관제사와 관련된 부분은 조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사고 원인이 조종사 과실로 밝혀짐에 따라 이번 훈련에는 계속 참가할 예정이다. 해당 기종의 비행도 13일부터 재개된다. 다만 사고 현장에 있던 조종사 4명은 예정된 훈련에서 배제될 예정이다. 공군은 “통렬한 반성과 실효성 있는 후속 조치를 통해 유사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025-06-1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