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유해발굴사업 내부조사 착수

軍, 유해발굴사업 내부조사 착수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5-10-27 22:46
업데이트 2015-10-28 0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명확한 피아 판정·조작 의혹에 한민구 장관 “사업 전반 살펴라” 서면 조사 후 감사 등 추가 조치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유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불명확한 피아 판정 등으로 적군 유해가 국립현충원에 매장됐을 수 있다는 서울신문 보도<10월 24일자 1면>에 대해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국유단 사업 전반에 대한 내부 조사를 지시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7일 브리핑을 통해 “한 장관이 유해발굴 사업 전반에 대한 점검을 지시했고 그동안 해 온 일을 정리해서 서면으로 확인하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면조사 이후 감사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그런 가능성을 지금 얘기할 필요는 없지만 점검 차원이라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말해 향후 국유단의 잘못이 드러날 경우 감사 등의 추가 조치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서울신문 취재팀은 2007년부터 최근까지 국유단의 6·25 유해 발굴 현장에 참여한 전직 감식관·전역병 등 30여명을 인터뷰해 발굴 현장에서 적군 유품을 의도적으로 제외하거나 아군 유품과 바꿔치기 하는 방식으로 국군 유해 숫자를 늘리기 위한 조작이 관행처럼 이뤄졌다는 증언을 확보해 보도했다.

이들은 2000년 이후 발굴된 6·25 전사자 9800여구의 피아 판정에 오류가 있거나 국립현충원과 파주 적군묘지에 아군·적군이 뒤바뀐 채 묻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증언했다.

이와 관련, 국유단에서 서울신문 보도 이후 한 장관이 내부 조사를 지시하면서 왜곡된 숫자를 맞추기 위해 통계 등이 조작되고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새정치민주연합 권은희 의원은 “국유단이 성과주의에 매몰됐던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며 “현충원의 미신원 확인 유해의 유품·기록에 대한 전수조사 등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이 유해발굴 과정의 오류에 대한 내부조사를 지시했지만 공식적인 감사가 아닌 서면 조사만 이뤄질 경우 스스로 잘못을 찾아 보고해야 하는 봐주기식 조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김종대 디펜스21플러스 편집장은 “국군유해발굴사업의 숭고한 뜻을 이어가려면 국방부가 이 문제를 반드시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5-10-28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