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특보 면면… 수석과 역할은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꺼내 든 대통령 특별보좌관(특보)단 진용은 ‘전문성’에 방점이 찍혀 있다. 이날 발표된 민정·안보·홍보·사회문화 등 4개 분야 특보의 면면을 보면 모두 해당 분야에서 오랜 경력을 쌓아온 전문가 출신이다.●이명재 특보, 총장 출신 신망 두터워
이명재 민정특보의 경우 특수통 검사 출신으로, 김대중 정부 말기에 검찰총장을 지내는 등 검찰 조직 내 신망이 두텁다는 평가다. 우병우 신임 민정수석의 사법연수원 기수(19기)가 김진태 검찰총장(14기)은 물론 고검장급(15~17기)에 비해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검찰 조직 안팎의 목소리를 박 대통령에게 전달하고, ‘비선실세 국정개입’ 문건 파동으로 드러난 공직기강 해이 문제를 바로잡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임종인 특보, 사이버테러 최고 전문가
임종인 안보특보는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자문위원, 국방부 사이버사령부 자문위원 등을 역임한 국내 최고 사이버테러 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최근 북한의 소니픽처스 해킹 사건 등 사이버테러 대응과 관련한 정책 조언에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안보실이 대부분 군 출신들로 채워져 있는 만큼 민간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신성호·김성우 특보, 국민 소통 창구
신성호 홍보특보와 김성우 사회문화특보는 모두 기자 출신이라는 점에서 박 대통령이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강조한 ‘국민 소통’의 창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박 대통령과 청와대를 끊임없이 괴롭혀온 ‘불통’ 논란을 해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특보 4명이 모두 전문가 위주로 구성된 만큼 향후 발표될 정무특보 역시 정치 현실을 가장 잘 아는 정치인 중에서 발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윤두현 홍보수석이 이날 “정무특보단 및 추가 특보 인선은 추후 발표할 예정”이라면서 ‘정무특보단’을 언급한 만큼 2명 이상이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당·정·청 소통은 물론 여야 관계도 원만하게 이끌어야 한다는 점에서 친박(친박근혜)계 전·현직 중진 의원이 제격이라는 분석이 많은 이유다.
특보들은 앞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살려 박 대통령에게 정책 조언을 하는 국정 운영의 ‘윤활유’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보는 대통령을 보좌하지만 공식 조직인 아닌 만큼 업무 관련 활동비만 지원받는 ‘무보수 명예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책에 대한 실무적인 뒷받침은 기존처럼 각 수석실에서 담당하게 된다.
그럼에도 특보단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다. 특보단과 수석실의 업무가 중복되거나 이해가 충돌할 경우 청와대 내부 갈등의 새로운 단초가 될 수 있다. 청와대 실무진들이 특보단의 눈치를 볼 경우 정책 추진에 제동이 걸리거나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월권’ 또는 ‘옥상옥’ 논란을 자초할 수 있다. 반대로 특보단과 수석실이 유기적으로 협조 관계를 맺지 못할 경우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에 휩싸일 수 있다. 박 대통령이 ‘운용의 묘’를 어떻게 살리느냐에 따라 특보단의 성패가 달려 있는 셈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1-2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