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사는 것도 서러운데… 늘어나는 부담에 저소득층 눈물] ‘역대 최대’ 이자 부담에 허덕이고…

[못사는 것도 서러운데… 늘어나는 부담에 저소득층 눈물] ‘역대 최대’ 이자 부담에 허덕이고…

입력 2012-08-20 00:00
업데이트 2012-08-20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위 20% 월평균 3만 6219원 부실위험 부채비율도 3배 높아

올 2분기 국내 저소득층의 이자 부담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소득층의 이자 부담은 상대적으로 줄어 가계 빚에서도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19일 통계청의 ‘2분기 가계 동향 조사’를 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가운데 소득 기준 1분위(하위 20%)의 이자 비용은 월평균 3만 6219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3.6% 증가했다.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3년 이래 최고 수준이다.

1분위의 이자 비용은 지난해 3분기 3만 9원에서 그해 4분기 3만 2611원, 올해 1분기 3만 2717원으로 점점 불어나고 있다. 통계청의 이자 비용은 집을 사려고 빌린 돈이나 가계 운영 등을 위해 받은 대출만을 조사 대상으로 한다.

사업 목적이나 다른 용도의 대출까지 고려하면 실제 이자 부담은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보인다. 2분위(하위 20~40%) 이자 비용은 1년 전보다 21.5% 급증한 월평균 6만 6612원이다. 증가율만 놓고 보면 소득계층 가운데 가장 높다. 이와 달리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이자 비용은 16만 449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에 그쳤다. 전 분기(16만 7966원)에 비해서도 감소했다.

소득과 비교한 이자 부담은 저소득층이 가장 컸다. 1분위의 소득 대비 이자 비용 비중은 2.84%로, 역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월 100만원을 벌면 이자 비용으로 2만 8400원을 지출했다는 뜻이다.

2분위는 2.53%, 3분위 2.59%, 4분위 2.52%, 5분위는 2.14%였다. 5분위의 소득 대비 이자 비용 비중은 1년 전 2.24%에서 오히려 낮아졌다. 1년 전에 비해 소득 대비 이자 부담이 줄어든 계층은 5분위가 유일했다.

김영일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하위 소득 계층 가운데 취약 부채 가구의 비율은 전체 평균보다 4배, 부실 위험 부채의 비율은 3배가량 높다.”며 저소득층 가계 빚에 대한 각별한 모니터링을 주문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8-20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