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신청자의 16%만 부모·형제 만나

이산가족 신청자의 16%만 부모·형제 만나

입력 2013-06-10 00:00
업데이트 2013-06-10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만 7986명만 직접 가족 상봉… 신청자의 43%인 5만여명 숨져

2000년 8·15를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꿈에 그리던 부모, 자식, 형제를 만난 이산가족들은 2만 1734명에 불과하다.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12만 8808명의 16.8%다. 영상통화를 통한 화상 상봉으로 간접 접촉한 3748명을 제외하면 1만 7986명만이 직접 가족을 만났다. 통일부는 아직 가족을 만나지 못한 이산가족들이 상봉 신청자 외에도 60만~70만명 남아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상봉자 명단에 들지 못한 다른 이산가족들은 기약 없는 기다림에 눈물 지어야 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거의 매년 개최돼 왔지만, 2010년 18차 상봉 행사(10월 30일~11월 5일) 이후 남북관계가 극도로 악화되면서 3년 가까이 열리지 못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총괄하는 대한적십자사(한적)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다.

반면 사망하는 이산가족들은 해마다 늘어 지난달 말 기준으로 상봉 신청자의 43%인 5만 5347명이 끝내 가족을 만나지 못하고 숨을 거뒀다. 특히 생존자 절반 정도가 80대 이상의 고령자여서 더욱 애를 태우고 있다. 이들이 사망하면 부부, 부모, 자녀 상봉은 사실상 맥이 끊기게 된다. 이산가족 상봉을 ‘시간의 문제’라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래서 늘 남북 적십자 회담의 화두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문제였다.

이명박 정부 때도 2010년 상봉 정례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이 열렸지만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논의가 중단됐다.

지난해에도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2차례 제의했지만 북한은 5·24 대북조치 해제,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의 문제를 연계해 우리 측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오는 12일 열리는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 합의가 이전과는 달리 수월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북한이 먼저 이산가족 상봉 행사 논의 의사를 밝혀 왔기 때문이다. 한적에는 벌써부터 상봉 행사 재개 여부와 절차를 묻는 이산가족들의 전화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6-10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