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피살자 명부’ 박경국 원장 일문일답

‘일제강점기 피살자 명부’ 박경국 원장 일문일답

입력 2013-11-19 00:00
업데이트 2013-11-19 15: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1운동·관동대지진 피살 정황 구체적으로 나왔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19일 “3·1 운동이나 관동(關東·간토) 대지진 명부의 피살자 규모는 크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김 아무개나 이 아무개가 어떻게 피살당했다고 정황이 나왔다는 게 상당히 의미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주일대사관 청사 신축에 따른 이사 과정에서 발견된 ‘3·1운동시 피살자 명부’,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 ‘일정(日政)시 피징용자 명부’와 관련한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명부에 실린 3·1운동 피살자는 630명, 관동대지진 피살자는 290명이다.

박 원장은 “이번 명부는 전국적인 정부 조사 결과인데다 주소나 생년월일까지 포함됐을 정도로 세세해 앞으로 피해 보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관계부처에 사본을 제작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박 원장과의 일문일답.

--1953년도 자료가 왜 지금에야 처음 공개되나.

▲일본에 있는 주일한국대사관이 이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6월쯤에 발견됐고 국가기록원이 8월에 받아서 지금까지 분석해왔다.

--지금까지 방치됐던 것 아닌가.

▲주일대사관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었다.

--어떻게 해서 명부가 주일대사관에 가게 됐나.

▲기록을 확인해본 결과, 그 해 12월 15일에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대통령이 유시를 통해서 조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듬해 4월 제2차 한일회담 준비를 위해서 자료를 준비해 주일대사관으로 보낸 것으로 보인다.

--명부가 한일청구권 협상 때 사용됐나.

▲확인되지 않았다.

--앞으로 피해보상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 같은데 전망은.

▲이번 명부는 전국적인 정부조사 결과인데다 주소나 생년월일까지 포함됐을 정도 세세해 앞으로 피해보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본을 제작하고 디지털화해 피해 보상과 관련된 관계부처에 신속하게 제공하겠다.

--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숫자가 예상보다 적은 것 같은데 이게 원본 전체인가.

▲인원이 상당히 적다. 기존 피살자는 적게는 6천명, 많게는 2만2천명으로 추정됐기 때문이다. 다만 당시 조사에서 일본의 피살자는 조사되지 않았다. 그래서 피살자 중 국내 연고가 있는 사람들이 적었던 것 아닌가 추정된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김아무개 이아무개가 어떻게 피살당했다고 나왔다는 것은 상당히 의미 있다.

--현재 발견된 명부가 이게 전체인가. 아니면 일부만 발견된 건가. 지역 간 편차가 상당히 크다.

▲조사 시점이 6.25 전쟁이 계속된 시점이라 일부 지역에서는 행정력이 제대로 못 미쳤을 수 있다. 한계가 있기 때문에 관련된 자료와 정밀한 사실 관계 확인작업이 필요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