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앞두고 택배절도 ‘주의보’…”이렇게 예방하세요”

설 앞두고 택배절도 ‘주의보’…”이렇게 예방하세요”

입력 2015-02-12 10:31
업데이트 2015-02-12 1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 명절을 앞두고 택배 이용이 늘고 있는 가운데, 배달된 물품을 훔치거나 택배를 수단으로 한 절도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해 12월 22일 오후 3시 30분께 경기도 군포시의 한 상가건물 3층 놀이방에 전화벨이 울렸다.

놀이방 업주는 “1층 편의점에 택배를 맡겨뒀다”는 말에 택배를 찾으러 잠시 놀이방을 비웠다.

그 사이 전화를 건 남성이 놀이방에 들어가 260만원 상당의 금품을 훔쳐 나왔다.

경찰에 붙잡힌 이 남성은 절도 등 전과 12범인 권모(37)씨.

그는 같은 수법으로 2012년 10월부터 최근까지 무려 30여차례에 걸쳐 4천만원 상당의 금품을 훔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28일 오후 6시께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한 아파트 경비실에서 근무 중이던 경비원은 “○○동 △△호에 온 택배 찾으러 왔다”는 한 학생의 말에 의심 없이 40만원 상당의 의류가 든 택배를 내어줬다.

알고 보니 입주민이 아니었던 이 학생은 경비실에 들어가면서 보관된 택배 박스에 적힌 동과 호수를 미리 봐둔 뒤 택배를 찾으러 온 것인 양 경비원을 속여 택배를 훔친 것이었다.

경찰에 붙잡힌 김모(16·고 1)군 등 3명은 같은 수법으로 10여차례에 걸쳐 100만원 상당의 물품을 훔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택배기사가 차량을 주차해놓고 배달간 사이 차량에서 택배를 훔치거나, 택배기사가 배달해 놓은 택배를 훔쳐가는 사례도 빈발하고 있다.

경찰은 설 명절을 앞두고 택배 이용이 증가하면서, 절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 택배는 되도록 직접 수령할 것 ▲ 경비실 등에 임시 보관한 경우 신속히 찾을 것 ▲ 부재중 택배를 집 앞에 두게 하지 말 것 ▲ 경비원 등 임시보관자는 택배 수령자의 신원을 확인할 것 ▲ 택배 수령으로 가게를 비우는 자영업자는 반드시 문을 잠글 것 ▲ 고가의 택배는 도난에 대비해 보험에 가입할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처법을 홍보하고 나섰다.

경찰희 한 관계자는 12일 “택배를 직접 수령하기 위해 수령지를 직장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며 “부재중 택배기사에게 ‘택배를 집 앞에 두라’고 하는 것은 택배 분실은 물론 빈집이란 사실을 알리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또 다른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