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잦은 핵실험은 잠들어 있던 백두산의 화산 분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17일 “북한의 1~3차 핵실험 지진파를 분석한 결과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지진이 규모 7이 넘을 경우 백두산 분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자연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최신호에 실렸다.
일반적으로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지하 5~35㎞까지 암석이 액체처럼 녹아있는 마그마가 있는 공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속도가 빠른 P파가 먼저 도달하고 큰 에너지를 가진 S파가 도착하는데 이런 지진파들이 마그마가 있는 공간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마그마를 급속히 압축했다가 팽창시키면서 마그마를 위로 밀어올려 폭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백두산은 그동안 휴화산 상태로 마그마를 갖고 있는 공간이 꽉 차 있어서 작은 압력으로라도 폭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북한 핵실험이 일어난 함경북도 풍계리와 백두산은 116㎞ 밖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인공지진이 화산분화를 촉진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1~3차 북핵 실험 때 관측된 지진파로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규모 7정도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와 같은 120kPa(킬로파스칼)의 압력이 가해지면 화산이 폭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발생한 지진 규모는 1, 2차 때보다 작은 4.8을 기록했다. 홍 교수는 “백두산 밑에 마그마를 품은 방이 몇 개가 있고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규모 7 이하에서도 다른 조건들이 갖춰지면 백두산이 분출될 가능성은 높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백두산 화산 활성화 조짐 뚜렷. KBS 제공
일반적으로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지하 5~35㎞까지 암석이 액체처럼 녹아있는 마그마가 있는 공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속도가 빠른 P파가 먼저 도달하고 큰 에너지를 가진 S파가 도착하는데 이런 지진파들이 마그마가 있는 공간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마그마를 급속히 압축했다가 팽창시키면서 마그마를 위로 밀어올려 폭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백두산은 그동안 휴화산 상태로 마그마를 갖고 있는 공간이 꽉 차 있어서 작은 압력으로라도 폭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북한 핵실험이 일어난 함경북도 풍계리와 백두산은 116㎞ 밖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인공지진이 화산분화를 촉진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1~3차 북핵 실험 때 관측된 지진파로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규모 7정도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와 같은 120kPa(킬로파스칼)의 압력이 가해지면 화산이 폭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발생한 지진 규모는 1, 2차 때보다 작은 4.8을 기록했다. 홍 교수는 “백두산 밑에 마그마를 품은 방이 몇 개가 있고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규모 7 이하에서도 다른 조건들이 갖춰지면 백두산이 분출될 가능성은 높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