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후변화에 산사태 급증… 48시간 전 예보해 ‘골든타임’ 확보

기후변화에 산사태 급증… 48시간 전 예보해 ‘골든타임’ 확보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3-06-12 18:07
업데이트 2023-06-13 0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인원격시스템 활용 조기 감지
예보와 예비특보, 세분화해 제공

기후변화의 여파로 국지성 호우와 집중호우가 잦아지면서 산사태 발생 위험이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피해 시기 및 지역 예측이 복잡해진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 예보를 48시간 전으로 확대해 주민 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산림청은 지난해 1278건의 산사태로 327㏊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12일 설명했다. 최근 10년 평균과 비교해 산사태 건수는 27%, 피해 규모는 34% 각각 증가했다. 산사태는 집중호우로 약해진 토사가 붕괴하면서 발생하는데 그동안은 태풍 피해로 인식됐다. 국내 최대 피해가 발생한 산사태만 보더라도 2002년 태풍 ‘루사’(2705㏊), 2006년 태풍 ‘에위니아’(1597㏊) 등에 따른 피해였다.

그러나 최근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 10년간 전체 피해의 81%가 7~8월에 집중됐다. 월별로는 8월 63%(152㏊), 7월 19%(45㏊)를 차지하는 등 장마가 길어지고 기후변화로 ‘극한 강우’가 내리면서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1343㏊의 피해가 발생한 2020년에는 6~8월에 2134건의 산사태로 임야 1255㏊가 훼손됐다. 인명뿐 아니라 재산 피해액이 1871억 8800만원, 피해 복구비로 3039억여원이 투입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는 해외에서도 심각한 문제다. 중국 쓰촨성에서는 지난달 4일 대규모 산사태로 19명이 사망했고 지난달 18일 100년 만의 호우가 내린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280여건의 산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산림청은 과학기반 대응을 통해 산사태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을 마련했다. 주민 대피 시간 확보를 위해 24시간 전 제공하던 산사태 예측정보를 48시간 전까지로 앞당겨 제공한다. 산사태 위험예보도 산사태 예보(1∼12시간)와 예비특보(24∼48시간)로 세분화해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산악기상관측망을 올해 480개로 확대하고 땅밀림 우려지역 내 설치된 무인원격감시시스템을 활용해 위험을 조기 감지키로 했다. 급경사지(1만 8249건)·도로 비탈면(2만 9813건) 등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에서 관리 중인 재해 위험성이 큰 사면정보 4만 8000여건을 산사태정보시스템과 연계해 관리한다. 산사태 위험기간(6~10월)에는 산림 간부들이 지역담당관으로 산사태 우려지역 전담 대응 및 수시 현장 점검 등 현장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사태를 막는 건강한 숲 조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며 “과학에 기반한 사전 예방과 신속한 대응·복구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2023-06-13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