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교사 비극에 트라우마 호소
정신과 치료 받는 교사들 많아
“상담 받기 어렵고 고통 숨겨
부담 줄이는 지원책 시급” 지적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49재 추모일인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추모 집회에서 한 참가자가 헌화하며 오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들 가운데 상당수는 장기간 우울감과 무력감을 호소했다. 지난 7일 숨진 20년 경력의 초등교사도 3년간 정신과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병철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최근 유족들의 이야기나 유서를 보면 몇 년씩 고생하다 죽음을 택했다는 표현이 있다”며 “많은 선생님이 정신과 치료도 받고 있고, 죽음을 생각할 정도의 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마음 건강이 위태로운 교사들이 지속적인 상담이나 심리 지원을 받기는 쉽지 않다. 시도교육청 전담 인력과 상담 횟수도 부족하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는 “교사라는 직책 때문에 (정신적 고통을) 숨기고 계신 분들이 많아 힘들어도 상담이나 진료받기 어려운 취약한 직업군”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실태 조사와 업무 부담 경감을 포함한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동욱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장은 “사회적 분위기가 아이들은 적어지고 관심은 많아지면서 교사들의 책임감과 일에 대한 부담은 커지고 있다”며 “스트레스는 가중되는데 비해 행정적인 부담이나 교사로서 책임과 부담을 줄여주는 환경은 부족하다.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교사들의 정신 건강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 전담 태스크포스(TF)를 만들기로 했다. 전담팀은 올 2학기부터 희망하는 모든 교원이 정신 건강을 진단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 대상 ‘특별 마음건강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