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방치된 빈집 4137채…시민단체 “활용방안 찾아야”

대구 방치된 빈집 4137채…시민단체 “활용방안 찾아야”

민경석 기자
민경석 기자
입력 2024-08-06 18:22
수정 2024-08-06 18: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흉물처럼 방치된 빈집.  서울신문DB
흉물처럼 방치된 빈집. 서울신문DB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으로 대구 지역에 빈집이 늘고 있어 지자체 차원의 해법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6일 우리복지시민연합이 ‘소규모&빈집정보알림e’를 통해 확인한 대구 지역 빈집 현황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대구의 빈집 수는 4137호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주택 수인 83만4000호의 0.5%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동구가 698호로 가장 많았고, 수성구 554호, 달성군 534호, 북구 505호, 서구 444호, 남구 384호, 달서구 243호, 중구 184호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대구로 편입된 군위군의 2021년 기준 빈집 수는 591호다.

주택 종류별로는 단독주택(다가구 포함)이 3350호로 전체 빈집의 81%를 차지했고, 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은 361호로 8.7%, 그 외 주택(무허가)은 426호로 10.3%로 집계됐다.

빈집은 대부분 지은 지 수십 년이 지나 낡은 경우가 많았다. 40년 이상 된 빈집은 전체의 78%인 3240호로 나타났다.

등급별로는 1등급(양호) 748호(18.1%), 2등급(일반) 1천686호(40.8%), 3등급(불량) 1천30호(24.9%), 4등급(철거대상) 673호(16.3%)로 나타났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조사 당시 군위군 편입 전임을 고려하더라도 당시 대구의 빈집은 3536호”라며 “빈집이 흉물이 되기 전에 해법을 찾기 위한 지자체의 관심과 의지가 더욱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빈집 소유자로부터 토지를 무상 임대받아 쉼터, 주차장, 텃밭, 공원 등으로 만들거나 공유재산화해 복지문화공간으로 정비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할 때”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