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진로·적성 키우는 ‘꿈·끼교육’ 입시·빈부격차에 의미 퇴색돼

[단독] 진로·적성 키우는 ‘꿈·끼교육’ 입시·빈부격차에 의미 퇴색돼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07-19 23:04
업데이트 2015-07-20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소년정책硏 초·중·고 5012명 실태 조사

박근혜 정부의 교육 분야 핵심 국정과제인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꿈·끼교육)이 당초 의미가 퇴색한 채 입시의 ‘블랙홀’로 빨려 들고 있다. 꿈·끼교육은 학생들이 시험과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소질과 적성,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입시와 연계되면서 결국 대입에 도움이 되는 분야의 활동만 활발하게 이뤄지고, 학생들의 경제력 격차나 학업성적 격차가 그대로 전이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고학년 될수록 ‘모험개척’ 줄고 ‘봉사활동’ 늘어

19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전국 초·중·고교 5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활동 참여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과학정보, 교류, 모험개척, 환경보존 등의 활동은 줄어들고 직업체험 및 봉사활동은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생의 각각 48.5%, 78.0%가 참여 경험이 있다고 밝힌 봉사활동과 직업체험은 고교생이 되면 각각 68.6%와 84.0%로 뛰었다. 이는 다른 분야의 활동과 달리 봉사활동과 직업체험이 고교 학교생활기록부의 비교과 영역인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 항목 중 각각 ‘봉사활동’, ‘진로활동’에 고스란히 기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항목은 상위권 대학들의 수시 선발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학생부종합전형 과정에서 반영된다. 반면 초등생의 각각 48.1%, 47.0%가 참여한 적이 있다고 한 모험개척과 자기(인성)계발 활동의 참여율은 고교생이 되면 각각 25.2%와 33.6%로 떨어졌다. 대학 입시에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가정형편 좋을수록 왕성한 활동… 대입도 영향

학생들의 빈부격차에 따른 활동의 차이도 확연했다. 경제수준별로 건강보건, 문화예술, 자기계발, 사회참여 등 청소년 활동 주요 10개 영역에서 자신이 경제적으로 ‘상’이라고 답한 학생들의 참여율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학업 성적도 비슷하게 반영됐다. 성적 기준 ‘상·중·하’와 청소년 활동 참여율이 10개 전 영역에서 정확하게 일치했다. 가족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입시에 반영되는 봉사 및 직업체험, 문화예술 영역에서의 양부모가정 학생의 참여율이 한부모가정 학생을 월등히 앞섰다.

환경이 좋고 학업 의지가 강한 학생이 학교생활에 전념하기 때문에 비교과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는 것은 일정 부분 불가피하다고 해도, 문제는 이런 흐름이 그대로 대학 입시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단적으로 지역균형선발 등 일부를 제외한 신입생 대부분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는 서울대 수시 모집의 경우 서울 25개구 가운데 강남·서초·송파·양천 등 이른바 ‘4대 교육특구’의 합격자 비율(일반고 기준)이 2010학년도 30.7%에서 2015학년도 47.0%로 늘어났다.

임희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사회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체험활동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청소년 기관을 거점화하는 등의 소외계층 청소년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7-20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