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생 미달·재단 재정 압박에… 자사고도 적자생존

신입생 미달·재단 재정 압박에… 자사고도 적자생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10-28 23:04
업데이트 2015-10-29 0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신고·서대전여고 일반고 전환, 올해만 3곳… 6년 새 8곳 줄어

신입생 미달에 따른 재정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은 자율형사립고(자사고)들이 잇따라 일반고로 전환하고 있다. 자사고 간의 경쟁에서 밀린 데다 일반고와 뚜렷한 차별화를 꾀하지 못했고 재단의 지원도 부족했던 게 주된 원인이다. 반면 일부 자사고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높은 지원 경쟁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른바 자사고의 ‘적자생존’ 시대가 본격화한 셈이다.

교육부는 “서울의 우신고와 대전 서대전여고의 자사고 지정취소 신청에 동의하고 27일 해당 교육청에 이를 통보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8월 일반고 전환을 요청한 서울의 미림여고까지 합치면 올해에만 3곳의 자사고가 일반고로 자발적으로 전환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2010학년도 26개로 출발해 2011학년도 51개로 정점을 찍었던 자사고의 수는 내년에 46개로 줄어든다. 지난 6년 동안 일반고로 전환한 자사고는 내년에 전환하는 3개교를 비롯해 동양고, 용문고, 보문고, 동래여고, 숭덕고 등 모두 8곳이다.

자사고들이 일반고로 전환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신입생 모집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자사고는 독립채산제로 운용하기 때문에 일반고와 달리 시·도 교육청에서 운영비를 지원받지 못한다. 통상 일반고의 3배로 알려진 학비로 충원하지 못하면 재정 상태가 악화된다. 예컨대 우신고의 경우 자사고로 전환한 이래 정원을 모두 채운 적이 한 차례도 없었다. 김시남 우신고 교장은 “자사고는 학생들의 학비와 재단의 투자를 두 축으로 운영하는데, 우신고는 두 가지 모두 부족해 그동안 어려움이 많았다”며 “여기에 서울시교육청이 면접권마저 박탈하면서 사실상 일반고와 큰 차이가 없게 돼 전환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 정원을 채우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지역적 한계’가 많이 꼽힌다. 김 교장은 “입학생 가운데 구로구 지역 학생이 70% 수준이고 나머지가 30% 정도인데, 다른 지역에도 자사고가 있어 굳이 구로 쪽으로 올 필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서울 지역 자사고 입시 결과에 따르면 24개교 가운데 우신고와 미림여고를 비롯해 10개교가 경쟁률에서 미달을 기록했다. 반면 강남구 일대와 목동 지역 등 전통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나 재단의 지원이 확실한 자사고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런 현상이 자연스레 자사고 퇴출로 이어진다는 뜻이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해와 올해 자사고 평가로 파행을 겪고도 자사고 가운데 단 한 곳도 퇴출시키지 못했지만, 결국 시장 원리에 따라 자연스레 자사고 구조조정이 일어나는 셈이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외국어고의 정원이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줄어들고 이과반을 운영하지 못하게 하면서 자사고의 인기는 되레 높아지고 있다”며 “지난해 입시 결과에서 미달을 보였던 자사고들을 중심으로 몇 년 동안 자연도태 현상이 일어난 뒤 살아남는 일부 자사고가 큰 인기를 누리게 될 확률이 크다”고 내다봤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0-29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