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現 고1부터 ‘고교 추천제’로 절반 선발

고려대, 現 고1부터 ‘고교 추천제’로 절반 선발

입력 2015-10-28 23:04
업데이트 2015-10-29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8학년도 입시제도 개편안

고려대가 현재 고교 1학년이 치를 2018학년도 입시부터 전체 입학생의 절반 정도를 고교 추천 전형으로 선발한다. 정시모집에 이어 수시모집에서도 논술고사를 없앤다. 서울대와 비슷한 전형방식으로 바꿔 우수 학생을 유치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남호 고려대 교육부총장은 28일 서울 성북구 안암동 캠퍼스 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2018학년도 입시제도 개편안을 발표했다. 고려대는 2017학년도 기준 전체 입학생의 16.7%인 수시모집 학교장 추천 전형을 2018학년도부터 고교 추천 전형으로 바꾸기로 했다. 모집 인원도 전체의 50% 안팎으로 크게 늘린다. 수시에 해당하는 고교 추천 전형이 대폭 늘어나면서 정시모집의 비중은 현재 25.9%에서 15% 안팎으로 줄게 된다.

고교 추천 전형은 교과 성적 위주로 뽑는 ‘학생부 교과 전형’과 고교가 고려대 인재상에 맞는 학생을 추천하는 ‘학생부 종합 고교 추천 전형’으로 나뉜다. 그동안 학교장 추천에서는 과학고나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 출신이 지원할 수 없게 돼 있었지만, 고교 추천 전형에서는 이 제한이 없어진다. 과학고와 외국어고 등 특목고 학생 중 내신이 좋은 학생들이 상대적인 이득을 얻게 됐다. 반면 전국 단위 자사고나 비평준화 고교 학생 등은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고교 추천 전형은 고3 재학생만 지원할 수 있으며 재수생은 지원할 수 없게 했다. 결과적으로 내신이 좋은 일반고 학생들이 가장 큰 이득을 보는 셈이다.

정시 논술 폐지에 이어 2018학년도부터는 수시 논술 전형도 폐지한다. 정시, 수시 논술을 모두 폐지한 것은 서울의 주요 대학 가운데 서울대에 이어 고려대가 두 번째다. 고려대는 장기적으로는 정시모집 자체를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재욱 고려대 입학처장은 “수능이라는 제도가 지금처럼 변별력이 없다면 수능 점수로 학생을 뽑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새로 생긴 고교 추천 전형은 서울대의 지역 균형 전형과 흡사하고, 논술 폐지 역시 서울대와 행보를 맞추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교육부의 일반고 살리기 정책을 충실히 따르는 동시에 서울대와 비슷한 형태의 입시전형을 통해 서울대와 겨루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10-29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