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 반응
교육부가 ‘프라임(PRIME) 사업’ 세부 계획을 발표한 29일 각 대학 관계자들의 속내는 복잡해 보였다. 다른 대학보다 더 많이 구조조정을 하면서도 후폭풍을 최소화하고, 학내 반발을 최소화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은 탓이다. ‘사회수요 선도대학’ 사업에 참여하려면 10% 이상, ‘창조기반 선도대학’ 사업에 참여하려면 5% 이상의 2017학년도 입학정원을 이동이나 감축하는 등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서울의 A대 기획처장은 “학과 구조조정에 따른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교수와 학생들이 상당히 민감하다”고 했다. 그는 “서울 등 수도권 대학은 적어도 10% 이상 구조조정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다른 대학의 동향을 살피고 반발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 대학의 경우 무려 25% 이상의 구조조정을 거쳐 사업 선정을 노리는 대학들도 있다. 지방 B대학 총장은 “학령 인구가 급속히 줄어들면서 신입생을 구하기 어려워진 지방의 대학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살아남기 위해 프라임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와 관련 “몇 년 동안 이어진 등록금 동결에 따라 대학에 돈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방학 동안 치열한 학내 반발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인문학과나 사회계열 교수들은 비상이 걸렸다. 취업률이 낮은 학과들이 불가피하게 구조조정의 대상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C대학 인문계열 교수는 “교육부가 주장하는 ‘산업 수요’는 결국 ‘취업이 잘되는지’가 아니겠느냐”면서 “대학이 그동안 학내 반발 때문에 구조조정을 미뤄왔는데, 이 사업으로 공개적인 구조조정이 가능해졌다. 이제 인문학과 교수들은 사실상 갈 곳이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2-3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