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확산, 일제 수색으로 감염원 차단

ASF 확산, 일제 수색으로 감염원 차단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4-29 19:51
업데이트 2020-04-29 19: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달 동두천과 가평 등도 수색지역 확대

환경부는 발생이 잇따르고 있는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을 위해 일제 수색을 통한 폐사체 집중 수거·제거에 나섰다.

29일 환경부에 따르면 이달 9~28일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합동 수색으로 멧돼지 폐사체 155개체를 제거했다. 이 중 ASF 양성으로 확인된 개체는 총 32개체였다. 그동안 폐사체 수색은 발생 지점 주변 지역에서 이뤄지고, 주민 신고에 의존했으나 산악지대 등은 접근이 안 돼 감염원인 폐사체의 신속한 발견·처리에 한계가 있었다.

일제 수색은 산악지대 등을 대상으로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이북은 국방부가, 이남은 환경부 수색팀이 일평균 300여명을 투입하고 있다. 인근 지역에서 ASF 감염 개체가 나왔으나 전파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던 경기 연천군 미산·신서면과 강원 화천군 사내·하남면, 강원 양구군 양구읍과 방산면 등은 집중 수색에서 폐사체가 발견되지 않았거나 음성으로 확인돼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5월에는 연천·화천과 인접한 경기 동두천과 가평을 수색 구역에 포함해 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해외에서도 폐사체 수색 및 신속한 제거가 ASF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효율적 조치로 입증됐다”면서 “세밀한 수색으로 확산을 저지하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3일 경기 연천 비무장지대에서 첫 발생 이후 ASF 감염 멧돼지는 총 580개체로 급증했다. 올해 강원 화천·양구·고성, 경기 포천 등에서도 확인되면서 발생 지역이 7곳으로 늘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