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물 흘려보내 섬진강의 ‘재첩’ 서식지 보존

댐물 흘려보내 섬진강의 ‘재첩’ 서식지 보존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5-20 15:51
업데이트 2020-05-20 15: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댐 운영 개선 첫 사례, 물 분쟁 해결 실마리

올해도 섬진강 재첩을 만날 수 있게 됐다.
섬진강 유역 4개 댐이 추가 방류를 통해 염해 피해를 발생한 섬진강 재첩 서식지를 보존할 수 있게 됐다. 환경부 제공
섬진강 유역 4개 댐이 추가 방류를 통해 염해 피해를 발생한 섬진강 재첩 서식지를 보존할 수 있게 됐다. 환경부 제공
20일 환경부에 따르면 섬진강 하류 재첩 서식지의 염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4월 1일부터 섬진강 유역 3개 댐에서 하루 19만 1000t의 물을 추가 방류하고 있다. 오는 11월까지 섬진강 하류 염해 원인조사 및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한다.

그동안 광양과 하동 등 섬진강 하류지역 어민들은 섬진강 하류의 재첩 서식지 염해 피해 예방을 위해 상류의 댐물 추가 방류를 요구하는 민원을 지속적으로 제기했다. 섬진강 유역에는 섬진강댐·주암댐·보성강댐·동복댐 등 4개의 댐이 있는 데 댐별로 관리기관과 용도가 다양해 협의가 쉽지 않았다.

환경부는 하류의 염해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섬진강의 유량을 늘리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관리기관들과 협의를 거쳐 지난 3월 댐 운영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생활·공업·농업용수 공급과 발전에 지장이 없는 댐별 기준저수량을 설정하고 댐의 저수량이 기준저수량 이상시 방류해 섬진강 본류 유량을 추가 확보하는 방안이다. 이를 통해 하루 추가 방류량 20만 7000t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댐별로는 섬진강댐 15만 2000t, 주암댐 3만 6000t, 보성강댐 일 3000t, 동복댐 1만 6000t이다. 현재 광주광역시가 동복댐 추가 방류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다. 추가 방류하는 19만 1000t은 65만명이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수돗물의 양이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통합물관리 차원에서 하천의 수질 및 수 생태계까지 고려해 댐 운영의 기조를 바꾼 첫 사례이자 생태계 보존과 지역 간 물 갈등을 해결의 대안을 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