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들면서 알아야 할 약 이야기] <2> 관절 진통제 사용시 의사 처방 필요

[나이들면서 알아야 할 약 이야기] <2> 관절 진통제 사용시 의사 처방 필요

입력 2015-07-19 17:48
업데이트 2015-07-19 2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골관절염 약, 고혈압 등 부작용 주의해야

여행도 가고 운동도 하고 싶지만 그저 마음뿐 관절들은 움직일 때마다 녹슨 기계처럼 삐거덕거린다. 비가 자주 내리는 여름에는 증상이 더 심해져 잠을 설치기 일쑤다. 나이가 들어 뼈와 뼈를 연결하는 관절의 연골이 수명을 다해 닳아 없어지면 뼈끼리 부딪쳐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퇴행 관절염’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노화 외에도 다양한 원인이 밝혀져 퇴행 관절염 대신 골관절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골관절염이 생기면 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관철 마찰음이 들리고, 아침보다는 저녁 시간 또는 운동을 하고 나서 관절이 붓고 열이 나며 아프다.

질병관리본부가 지난 1월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의 골관절염 유병률은 12.5%이며, 남성보다는 여성의 유병률이 3.7배 높다. 노화에 따른 골관절염은 완치가 어렵다. 따라서 치료도 완치보다는 관절 통증을 조절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관절 기능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관절의 통증을 개선하는 데는 아세트아미노펜을 쓴다.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나 마약성 진통제에 비해 부작용은 적지만, 효과가 강하지 않다. 반면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는 통증과 염증을 일으키는 효소를 억제하면서도 위장관을 보호하는 효소까지 억제해 장기 복용 시 속쓰림, 구역, 상부 위장관의 궤양 및 응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꼭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한다.

최근에는 통증을 일으키는 효소만 선택적으로 억제해 소화기계 부작용을 줄여 주는 새로운 기전의 약물이 개발됐다. ‘세레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폴마콕시브’라는 것인데, 고혈압이나 심부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주의해서 약물을 사용해야 하며, 꼭 필요할 때만 최소한으로 투여한다.

골관절염에는 비타민 C나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 영양소가 많이 함유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고 관절의 주요 영양소인 칼슘과 칼슘 흡수를 촉진하는 녹황색 채소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카페인은 칼슘 배출을 촉진하기 때문에 자제해야 한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7-20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