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논문 국내외 들썩
“세계적 떡밥” 증권가 설왕설래
재현성 없어 사이언스 “회의적”
국내 학계 샘플 받아 검증 나서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한국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둘러싸고 해외 과학계에도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2023.8.3 미 에너지부 제공
문제는 이 온라인 논문 사이트 ‘아카이브’는 ‘동료 검토’(피어 리뷰) 없이 누구나 논문을 게재할 수 있는 곳이라는 점이다. 이와 함께 과학 연구의 중요한 요소인 ‘재현성’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과학 저널 ‘사이언스’도 논문 공개 닷새 뒤인 지난달 27일 “해당 논문에 충분한 내용이 없어 과학계에서는 아직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과학계에서는 아직 부정적 의견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이런 학계 분위기와는 달리 증권가에서는 초전도체 관련 기업들 주가가 연일 상한가 행진이다. 소셜미디어(SNS)에서도 ‘노벨상급 연구 성과’, ‘세계적 떡밥’이라는 글들로 설왕설래 중이다.
초전도 현상이나 초전도체는 극저온에서 금속이나 합금, 유기 화합물의 전기 저항이 거의 0에 가깝게 되면서 전류가 장애 없이 흐르는 것이다. 1911년 네덜란드 물리학자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가 고체 수은의 저항을 극저온에서 측정하는 도중에 우연히 발견했다. 절대온도 4.2K(섭씨 영하 268.95도)에서 고체 수은의 저항이 갑자기 사라져 0에 가까워진 것이다.
이후 많은 연구가 이뤄졌는데 2020년에도 미국 로체스터대 연구팀이 영상 15도에서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상온에서 작동하지만 260만 기압이라는 초고압 조건이 필요하다. 그마저도 데이터 조작으로 밝혀져 이 논문은 철회됐다.
상온·상압 초전도체 연구는 프리랜서 연구자들도 많이 뛰어들고 연구부정 행위도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과학계 검증을 끝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초전도 현상은 한 가지 원소로 된 물질은 물론 금속 합금, 심지어 도핑된 세라믹 물질, 즉 반도체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국 베이항대, 화중과학기술대, 인도 국립물리연구소 등에서는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이거나 특이한 반자성 신물질일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그렇지만 LK99 개발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LK99는 초전도 현상으로밖에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을 확신하는 분위기다.
논란이 이어지면서 국내 학계에서도 본격적으로 검증에 나섰다. 지난 2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논문을 통해 발표된 데이터와 공개된 영상을 기반으로 판단할 때 해당 물질은 상온 초전도체라고 할 수 없다”면서 “퀀텀에너지 측이 샘플을 제공하면 상세히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계에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주요 연구기관에서 검증에 나서고 있는 만큼 시간이 걸리겠지만 명확한 결론이 날 전망이다.
2023-08-0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