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과 나-권석하] 英에 실망했다는 한국… 기업에 밀린 현지봉사단 이래저래 불편한 교민들

[올림픽과 나-권석하] 英에 실망했다는 한국… 기업에 밀린 현지봉사단 이래저래 불편한 교민들

입력 2012-08-03 00:00
업데이트 2012-08-03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에 거주하는 교민들은 런던올림픽 개막을 흥분과 설렘으로 기다렸다. 그런데 열전이 시작된 지 일주일이 안 돼 흥분은 분노로, 설렘은 실망으로 바뀌고 있다.

이미지 확대
권석하 IM 컨설팅 대표
권석하 IM 컨설팅 대표
우리 선수의 경기에서 연거푸 터져 나오는 판정 시비 때문에 교민들은 만나면 안타까움을 털어놓고 있다. 아름다운 우리 젊은이들이 이곳 영국에서 편파적이거나 잘못된 판정을 받고 눈물을 머금는 장면을 지켜보면서 아들딸의 일인 것처럼 마음 아파하고 있다. 그런데 더욱 기가 막히는 일은 한국에서 ‘영국 신사들에게 실망했다.’ ‘영국은 올림픽을 그 정도로밖에 못 치르나.’라고 영국과 영국인, 나아가 교민들을 타박하는 듯한 시선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교민들로선 억울할 수밖에 없다. 올림픽 주최 측은 경기의 장만 제공할 뿐 경기 운영은 해당 경기단체가 주관하는 것임을 모르고서 하는 얘기다.

인터넷을 보니 주한 영국대사관은 한국인들의 항의성 문의 전화가 많아 “오심은 영국 정부와 무관한 일”이란 취지의 보도자료를 최근 냈다고 했다.

세기에 한 번 열릴까 말까 한 스포츠 축제가 런던에서 세 번째로 열린다는 사실에 교민들은 많은 기대를 걸었다. 가장 먼저 정착한 교민들이 이곳에서 산 기간이 40~50년밖에 안 돼 영국의 한인사회는 미국의 교민사회보다 규모도 작고 역사도 일천하다. 교민 다수가 이민 1세대들이고 이제 막 2세들이 사회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변호사, 의사, 회계사처럼 주류사회의 기반 없이도 자격증만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전문직에 이제 발을 내딛고 있는 것이다.

교민들은 런던에 오는 동포들을 도울 일이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준비도 다부지게 했다. 교민 몇백 명이 자원봉사 조직도 만들고 준비대회까지 열었다. 그런데 대회가 시작된 지 일주일이 되도록 가동되지 않고 있다. 체육단체나 기업들이 각자의 힘으로 일을 다 해내고 있어서다. 그만큼 체육단체나 기업들의 힘도 커지고 능력도 갖춰다는 뜻이니 좋은 일일 것이다. 그러나 생업을 팽개치고 준비해 온 교민들로선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닐 수 없다.

여기에다 과거에 이뤄지던 대사관이나 기업, 교민단체 주도의 단체 응원도 사라졌다. 언제부터인가 박수부대 동원을 지양해야 한다는 명분 아래 교민들 스스로 표를 구해 응원을 가는 문화로 바뀌었다. 물론 누가 불러 준다고 우르르 몰려가 응원하는 행태가 꼭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하지만 영국에서 몇십 년을 살아도 입장권 구하는 일에 익숙하지 않은 1세대 교민들이 받는 마음의 상처는 간단치 않다. 영국인마저 종잡을 수 없다고 불평을 해대는 런던올림픽조직위원회의 입장권 관리 시스템에서는 더욱 그렇다. 조국애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이민 1세대들이 집에서 텔레비전으로밖에 경기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런던 거주 컨설턴트 johankwon@gmail.com

2012-08-03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