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6%만 “국회 신뢰”..정부·법원도 15%에 그쳐

국민 5.6%만 “국회 신뢰”..정부·법원도 15%에 그쳐

입력 2013-02-21 00:00
업데이트 2013-02-21 09: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 조사 결과82% “빈부 계층 갈등 심해”..17%만 “기회균등 보장”30.3%만 “북한은 동반자”..이념적 성향은 보수 32.7%ㆍ진보 28.2%

우리나라 국민은 주요 공적 기관 가운데 국회를 가장 불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가운데 8명은 사회 빈곤층과 부유층 간 계층 갈등이 심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절반 가까운 국민은 북한을 ‘동반자’로 인정하지 않았다.

21일 대통령 직속 사회통합위원회의 2012년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성인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국민의식조사를 한 결과 정부·국회·법원·경찰·언론·금융기관 등 6개 주요 공적기관 가운데 국회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낮았다.

국회를 신뢰한다는 대답은 5.6%뿐이었고, 72.8%가 신뢰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정부 역시 신뢰한다는 답변(15.8%)이 불신(46.0%)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법원과 언론의 신뢰율도 각각 15.7%, 16.8%에 그쳤다. 상대적으로 금융기관의 신뢰율이 28.5%로 가장 높았고, 경찰도 20%를 웃돌았다.

정부의 경우 2010년 조사와 비교해 불신율이 41.8%에서 46.0%로 크게 높아졌다.

계층·노사·이념·지역·세대·문화·남녀·환경 등 8개 영역으로 나눠 사회 갈등 정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계층간 갈등’이 심하다는 응답이 82%로 가장 높았다. 1년 전인 2011년 조사 당시(75.7%)보다도 계층 갈등 인식이 더 뚜렷해졌다.

나머지의 경우 ▲이념 63.8% ▲노사 63.7% ▲수도권-지방 56.1% ▲세대 56.1% ▲환경 51.6% ▲문화 36.9% ▲남녀 32.2% 등으로 집계됐다.

사회적 결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국민으로서의 자부심, 사회 공정성, 타인의 법 준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우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낀다’는 대답이 61.7%로 ‘그렇지 않다(8.3%)’보다 월등히 많았다.

그러나 ‘우리사회에서 경제사회적 기회 균등이 보장되는가’라는 질문에는 16.8%만 ‘그렇다’고 답했고 45.4%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시민들이 법을 잘 지킨다’(28.0%)는 긍정적 평가도 ‘그렇지 않다(31.7%)’에 비해 적었다.

사회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으로는 경제적 약자 배려(26.9%), 기회균등(25.8%), 시민의식(20.2%) 등이 꼽혔고, 사회통합을 주도해야할 주체로는 정부(65.2%), 시민단체(10.1%), 정당(8.4%) 등이 지목됐다.

성장-분배 우선 순위의 경우 성장(34.0%)을 지지하는 비율이 분배(32.1%)를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2011년 조사 결과(분배 40.6%, 성장 24.3%)와 비교해 성장을 중시하는 인식이 1년새 크게 늘어난 셈이다.

’북한은 우리의 동반자인가’라는 물음에는 44.5%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고, ‘그렇다’는 대답은 30.3%에 그쳤다. 부정적 응답률이 2011년 조사 당시(50.8%)보다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국민의 절반 정도는 북한을 동반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 사회 발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과반인 56.5%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부정적 평가는 17.2%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자신이 이념적으로 ‘보수’ 성향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32.7%로, ‘진보(28.2%)’보다 많았다. 2011년(보수 35.3%, 26.8%)에 비해 진보가 다소 늘고 보수는 줄었지만 전반적으로 보수:중도:진보의 비율은 3:4:3 정도로 유지됐다.

5개 빈부 계층(상-중상-중간-중하-저)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지 묻자 가장 많은 41.9%가 ‘중간층’을 꼽았고 중하층(27.0%), 저소득층(19.2%)이 뒤를 이었다. 중하층과 저소득층을 합한 하위계층 비율은 46.2%로, 2010년 조사 당시(48.0%)보다 다소 낮아졌다.

사회통합위원회는 “사회적 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지속되고 있고, 일부 영역의 경우 심각성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3년째 계층갈등 해결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힌만큼 소득분배 개선과 사회안전망 강화 등 계층간 격차를 실질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 공적 기관 │ 사회통합국민의식조사 결과 ‘신뢰한다’ 응답률(%) │

├────────┼────────────────────────────┤

│ 정부 │ 15.8 │

├────────┼────────────────────────────┤

│ 국회 │ 5.6 │

├────────┼────────────────────────────┤

│ 법원 │ 15.7 │

├────────┼────────────────────────────┤

│ 경찰 │ 20 │

├────────┼────────────────────────────┤

│ 언론 │ 16.8 │

├────────┼────────────────────────────┤

│ 금융기관 │ 28.5 │

└────────┴────────────────────────────┘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