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용산사업 디폴트 ‘직접 피해’ 2천365억원

금융권 용산사업 디폴트 ‘직접 피해’ 2천365억원

입력 2013-03-13 00:00
업데이트 2013-03-13 15: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자산운용 등 재무적 투자자로 7개사 참여대출 등 간접지원 포함 때 전체 피해는 더 늘어나

건국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꼽힌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디폴트(채무불이행)로 금융권에서 2천365억원의 피해를 보는 것으로 13일 파악됐다.

금융기관들이 다른 투자자나 사업자들에게 대출·지급보증을 한 것까지 포함하면 전체 피해 액수는 이보다 훨씬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용산 개발사업의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이하 드림허브)에 재무적 투자자로 출자한 금융기관은 모두 5곳이다. 투자비율은 23.65%에 달한다.

드림허브의 자산이 1조원이어서 금융기관의 총투자액은 2천365억원으로 추산된다.

가장 많이 투자한 곳은 KB자산운용으로 1천억원(10.0%) 규모다.

이어 ‘미국 푸르덴셜 본사’ 770억원(7.7%), 삼성생명 300억원(3.0%), 우리은행 200억원(2.0%), 삼성화재 95억원(0.95%)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무적 투자자들은 드림허브가 최종 부도로 처리되면 투자금 전액을 날릴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금융권에 팽배하다.

투자금을 회수할 장치는 있다. 투자자들이 코레일과 투자금 반환청구약정을 체결한 것이다.

그러나 용산사업이 끝내 좌초되면 코레일도 심각한 타격을 받게 돼 투자금 환수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용산사업이 최종 부도나면 손실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금융기관이 대출이나 지급보증 등의 형태로 다른 투자자나 사업자에게 지원한 사례다.

용산사업이 좌초되면 다른 투자자나 사업자의 2차 부도로 이어지면서 금융기관에 막대한 부실채권이 생겨 대출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금융기관들은 용산사업에 얼마나 많은 돈이 흘러갔는지 아직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금융기관에서 투자자나 사업자들에게 운용자금 등으로 대출했을 당시에 자금 용도를 ‘용산개발’이라고 명시하지 않았다면 용처를 알 수 없다.

그럼에도 용산 개발사업 규모가 31조원에 이르고, 그동안 금융기관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봤다는 점에서 이 정도는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몇몇 금융사들이 시드머니(종잣돈) 비슷하게 (돈을) 넣은 것 같은데, 크게 피해를 보는 금융사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용산개발사업이 파국을 맞으면서 불똥이 다른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확산할까 봐 금융기관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