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금융회장 후임 하마평

KDB금융회장 후임 하마평

입력 2013-03-29 00:00
업데이트 2013-03-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종룡 기용설 진동수 컴백설 황영기 발탁설

강만수 KDB금융지주 회장의 사의 표명으로 금융권에는 벌써부터 후임 하마평이 무성하다.

당장은 실질적인 공석이 된 KDB 회장 자리를 둘러싼 경합이 치열하다. 경제 관료 출신으로는 임종룡 전 국무총리실장,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 권혁세 전 금융감독원장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민간인 출신으로는 황영기 전 KB금융 회장, 이덕훈 키스톤 프라이빗에쿼티(PE) 대표 등이 거론된다.

떠나는 강만수
떠나는 강만수 사의를 표명한 강만수 KDB금융지주 회장이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산업은행 본점에서 로비를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권이 가장 주목하는 인물은 금융위원장 물망에도 올랐던 임 전 실장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행시 24회 동기인 임 전 실장은 실력과 인품을 겸비한 데다 여야 의원들의 평도 좋아 유력 후보로 꼽힌다. 행시 17회인 진 전 위원장은 장관급인 금융위원장을 지낸 이후 이렇다 할 자리를 맡지 않았다는 점에서 후보군 앞자리에 놓였다. 이들을 두고 이미 인사 검증에 들어갔다는 얘기도 들린다.

삼성 출신인 황 전 회장은 명예 회복을 노린 금융권 재입성 얘기가 꾸준히 나돌고 있다. 우리은행장, 우리금융지주 회장 등을 지내며 승승장구했지만 행장 시절 투자했던 파생상품이 대거 부실해지면서 금융 당국의 제재를 받았다. 최근 대법원이 징계 취소 결정을 내리면서 금융권에 되돌아올 명분을 찾았다. 대법원이 그의 손을 들어 줬지만 행장, 회장 시절의 업적 평가가 엇갈리는 점은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우리은행장을 지낸 이 대표는 요즘 주목받는 ‘서강 인맥’이다. 서강대 67학번으로 2011년 결성된 서강바른금융인포럼의 핵심 멤버다.

이들 후보군은 오는 7월 임기가 끝나는 어윤대 KB금융 회장 후임으로도 거론된다. 산은금융 회장을 지낸 민유성 티스톤 파트너스 회장과 이동걸 전 신한금융투자 부회장 등의 이름도 나온다. 민 회장은 서강바른금융인포럼 멤버다. 이 전 부회장은 지난 대선 때 이 대표 등과 함께 ‘박근혜 대통령 지지 금융인(1365명) 선언’을 이끌어낸 주역이다. 일찌감치 사의를 표명한 전광우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이름도 들린다. 이들은 우리금융 회장 후보군이기도 하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3-29 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