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세계경제 회복? 돌연 주저앉을 가능성”

FT “세계경제 회복? 돌연 주저앉을 가능성”

입력 2013-04-16 00:00
업데이트 2013-04-16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20國 ‘타이거지수’ 분석

“세계 경제는 경기 회복세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갑작스럽게 주저앉을 가능성도 있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 경제가 중앙은행의 대규모 양적 완화 등으로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세계 경제는 여전히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타이거지수’(TIGER)를 인용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가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타이거지수는 주요 20개국(G20)의 실물 경제 활동과 금융 변동성, 신뢰도 등을 종합한 것으로 세계 경제의 회복 여부를 파악하는 용도로 자주 쓰인다.

브루킹스연구소의 에스와르 프라사드 교수는 “(타이거 지수는)세계 경제가 이륙할 능력이 없으며 (여전히) 주저앉을 수 있는 위험에 직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그나마 다행인 점은 일부 핵심 경제국의 경기가 바닥을 쳤다는 것뿐”이라고 지적했다. FT는 미국 경제가 선진국 가운데 상대적으로 밝지만 실물 경제와 신뢰도는 여전히 정상적인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도 완만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아일랜드와 포르투갈,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위기국의 경제성장률이 바닥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FT는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지표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것으로 평가됐음에도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 신흥국의 경기침체 조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타이거 지수도 2011년 중반 이후 정체기에 들어갔다고 분석했다.

앞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지난 10일 “세계 경제가 서로 다른 속도로 성장하는 ‘세 갈래 회복’ 시대에 들어섰다”며 새로운 경제 위기 발생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세 갈래란 경제 성장률이 빠른 1권역(동아시아), 회복 중인 2권역(미국·스위스·스웨덴), 뒤져 있는 3권역(유로존·일본)을 뜻한다.

이에 따라 1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IMF와 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서도 세계 경제 위기 대처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라고 FT는 전망했다.

최재헌 기자 goseoul@seoul.co.kr

2013-04-16 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