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쇼크] 한국 등 신흥국 부도위험지표 급등

[버냉키 쇼크] 한국 등 신흥국 부도위험지표 급등

입력 2013-06-20 00:00
업데이트 2013-06-20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이 기정사실화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국가부도위험 지표가 급등했다.

20일 금융투자업계와 파생상품 전문기업인 슈퍼디리버티브즈(SuperDerivatives)에 따르면 한국의 국채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미국 뉴욕시장에서 19일(현지시간) 92.54bp(1bp=0.01%포인트·Mid값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보다 12.12bp(15.07%) 급등한 연중 최고치다.

연초(65.72bp)에 비해선 40.81% 높고, 북한 핵실험과 전정협정 백지화 선언에 따른 한반도 위기고조(87.90bp)나 삼성전자 쇼크(91.90bp) 당시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여타 신흥국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 브라질의 CDS 프리미엄은 18일 164.02bp에서 19일 175.87bp로 11.85bp(7.22%) 올랐고, 태국은 같은 기간 96.45bp에서 104.05bp로 7.60bp(7.88%) 상승했다.

중국의 CDS 프리미엄도 94.52bp에서 102.57bp로 8.05bp(8.52%) 가량 높아졌다.

이집트는 CDS 프리미엄이 720.63bp에서 762.04bp로 하루 만에 41.41bp(5.75%)나 오르기도 했다.

이밖에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카타르 등도 2.48∼4.17%씩 CDS 프리미엄이 상승했다.

이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9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양적완화 정책을 연내 축소하고 내년 중반에 종료할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한 반응으로 보인다.

유동성 공급이 줄면서 투자자금이 신흥국 증시에서 대거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재차 고조된 것이다.

반면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의 CDS 프리미엄은 버냉키 의장의 발언을 전후해 변동이 없거나 오히려 내렸다.

미국의 CDS 프리미엄은 19일 20.10bp로 전날보다 0.01bp(0.05%) 오르는데 그쳤다. 일본 CDS 프리미엄은 77.44bp로 오히려 0.29bp(0.37%) 하락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