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기업 격앙…“정부 기다릴 수만 없어”

개성공단기업 격앙…“정부 기다릴 수만 없어”

입력 2013-07-30 00:00
업데이트 2013-07-30 13: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전 입주기업 비상대책회의서 ‘정부 책임론’ 제기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30일 최근 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실무회담이 결렬된 것과 관련해 ‘정부 책임론’을 거론하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개성공단 전체 입주기업 비상대책회의는 123개 기업 대표와 법인장, 임직원들의 ‘대정부 성토장’을 방불케했다.

한 입주기업 대표는 “정부가 기업에 피해를 주는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따라왔는데 더 기다릴 수만은 없다”면서 “이제는 정부 눈치 그만 보고 할 얘기는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다른 기업인은 “6차 회담까지 가서 결렬된 것을 보면 정부에 공단 정상화를 위한 의지가 없는 것 같다”며 “차라리 북한 근로자들의 습성을 잘 아는 기업인들을 협상에 보내주면 우리가 재발방지 보장을 받아 오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단 사태가 길어지면서 인내심이 바닥난 기업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강경한 목소리로 공단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했다.

그동안 기업들은 실무회담이 재발방지 보장에 대한 입장 차이 때문에 지지부진한 양상을 보였음에도 정부를 비판하는 것을 자제했다.

정부와 다른 목소리를 내면 북한과의 협상에서 정부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와 정부와의 이견이 자칫 ‘남남갈등’으로 비칠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날 전체회의에 집결한 기업인들은 이제 더 잃을 게 없는 상황에서 할 말이라도 하겠다는 모습이었다. 공개 발언을 하지 않은 기업인들도 2∼3명씩 모여 최근 상황에 대한 답답함을 드러냈다.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정부는 확실한 재발방지 보장이 없다고 하는데 북한이 회담에서 제시한 합의 내용을 보면 전혀 수용할 수 없는 내용은 아니다”라며 “우리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에 더 유연성 있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기업들은 정부가 북한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으면 ‘중대결심’을 하겠다고 밝힌 것이 공단의 실제 주인인 기업들을 무시한 처사라고 반발했다.

”지금까지 충분한 지원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정부가 공단 폐쇄로 발생할 추가 손실을 제대로 보상해주겠냐”며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도 드러냈다.

정기섭 ㈜SNG 대표는 “정부의 중대 결심이 공단 폐쇄까지 생각하는 것 같은데 기업의 의사와 상관없이 당국끼리 회담하다가 입맛대로 되지 않으면 (공단을) 닫겠다는 게 과연 상식적인 얘기”냐고 반문했다.

이날 기업들은 정부에 신속한 실무회담 재개를 촉구하는 동시에 시민을 직접 찾아가 공단 문제를 공론화하기를 뜻을 모았다.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앞으로 공단 정상화를 위한 100만 명 서명운동, 입주기업 대표들의 릴레이 단식 투쟁, 국회·대한문 앞 릴레이 3천 배, 평화 대행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