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개인투자자들, 법정관리·관리인 선임에 반발

동양 개인투자자들, 법정관리·관리인 선임에 반발

입력 2013-10-17 00:00
업데이트 2013-10-17 1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의사당 인근서 집회…동양증권 노조도 “유감”

법원이 17일 동양그룹 5개 계열사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내리면서 현 경영진을 대부분 법정관리인으로 선임하자 개인 투자자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동양그룹 계열사들의 회사채와 기업어음(CP)에 투자를 했다가 피해를 본 개인투자자들은 부실에 책임이 있는 동양, 동양시멘트, 동양레저, 동양인터내셔널 등 4개 회사의 대표이사가 그대로 법정관리인이 된 것을 비판했다.

개인투자자들은 그동안 탄원서나 집회 등을 통해 관리인 선임 과정에서 경영진을 배제해달라고 꾸준히 요청했다.

동양그룹의 현재현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이 국민을 상대로 채권과 CP를 돌려막기 한 금융사기에서 비롯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들 투자자는 ‘동양 국감날’인 이날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집회를 열어 피해 최소화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 투자자는 “동양시멘트의 법정관리 신청을 기각하지 않은 것도 모자라 현 경영진을 그대로 앉혀놨다”며 “고통받는 개인투자자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조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인터넷 피해자 모임 카페에도 ‘다 판을 짜놓은 것’, ‘경영진이 의도한 대로 된 것’이라는 등 현 경영진을 관리인으로 선임한 것을 비판하는 글들이 속속 올라왔다.

아이디 ‘뿔난**’는 “하루아침에 날벼락을 맞았다”며 “기업은 신뢰가 생명인데 신뢰를 잃은 동양 사태의 주범들이 회생관리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썼다.

’설*’은 “현 회장 일가가 원하는 대로 결정이 났다”며 “어떻게 사기꾼에게 다시 회사를 맡길 수 있는가”고 주장했다.

다만 동양네트웍스의 경우 현 대표이사가 배제됐고 다른 계열사 역시 공동 관리인이 선임된 것에 희망을 걸자는 글도 눈에 띄었다.

’동양그룹 채권자 비상대책위원회’는 “비대위가 추천한 3명이 공동 관리인으로 선임됐다”며 “공동 관리인들에게 원칙과 소신에 따라 공명정대하게 일을 처리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설명했다.

동양과 동양인터내셔널, 동양레저 등 3사의 법정관리 과정에서 재산상태를 파악하는 조사위원으로는 안진회계법인이 선정됐다.

비대위는 “동양그룹의 회계 감사를 맡지 않은 안진회계법인이 조사위원으로 선정됐지만 컨설팅이나 자문계약 등을 통해 안진회계법인과 동양그룹 간의 유착관계가 없었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동양증권 노동조합은 법원에 기각 요청을 한 동양시멘트가 법정관리 명단에 들어간 것에 유감을 표명했다.

동양증권 노조는 입장 자료를 통해 “동양시멘트 법정관리 신청은 치밀하게 계획된 꼼수였는데 투자자들의 눈물과 외침을 한 번이라도 생각했다면 억지스러운 재벌 편들기 결정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며 “법원의 동양시멘트 법정관리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동양시멘트의 관리인 불선임으로 김종오 현 대표이사가 관리인 역할을 맡는 것과 관련해선 “4만6천여 명에 달하는 선량한 투자자들의 목소리를 무시한 처사로 통산도산법상 기존 관리인 유지제도(DIP)의 제도적 결함을 방조한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동양증권 노조는 그동안 동양시멘트의 경우 회생절차가 필요없는 견실한 기업이기 때문에 법정관리 신청을 기각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노조는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만큼 전날 발족한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대응을 해 나갈 계획이다.

동양증권 고객과 직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만든 TF는 채권단 협의와 법정관리 대응 부문으로 나눠 활동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