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 ‘스마트 물류’ 허브 육성

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 ‘스마트 물류’ 허브 육성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7-22 23:48
업데이트 2015-07-23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7개 광역시도 혁신센터 출범 완료

‘동북아 물류 허브’ 인천이 ‘스마트 물류’와 ‘한·중 교류 협력’의 전진기지로 거듭난다.
이미지 확대
“대한민국, 창조경제로 깨어나야”
“대한민국, 창조경제로 깨어나야”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인천 송도 미추홀타워에서 열린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 참석한 뒤 스마트 물류 항만 터미널 가상화 시스템을 둘러보고 있다. 왼쪽부터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박 대통령, 유정복 인천시장. 박 대통령은 이날 지역 산학연 관계자들과의 오찬에서 “우리나라에 제2의 창업, 벤처 붐이 형성되고 있다. 대한민국 전체가 창조경제로 거듭 깨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미래창조과학부와 한진그룹은 22일 인천 송도 미추홀타워에서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을 열고 인천을 첨단 물류산업의 거점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인천혁신센터는 인천의 물류 인프라와 한진의 물류 노하우에 실시간 위치 추적, 무인항공기 배송 기술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수출산업의 경쟁력을 꾀한다. 중국 시장을 공략할 중소·벤처기업도 키운다. 센터는 카페24, 알리바바 등 기존의 중국 직판 온라인 사이트에 대한 이들 기업의 입점을 지원하는 등 대중국 온라인 보부상을 집중 육성한다.

이날 개소식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은 “인천은 개항기부터 우리나라와 세계를 연결하는 관문으로 우리의 근대화와 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해 왔다”면서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인천의 우수한 인프라 기반과 지리적 강점, 글로벌 물류 기업인 한진그룹의 역량을 잘 결합해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세계로 진출하는 전진기지가 돼 주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최근 중국의 경제정책이 수출 중심에서 내수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소비 기반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특히 온라인 구매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인천혁신센터의 한·중 교류 협력 특화 플랫폼 구축에 큰 관심을 보였다.

개소식에는 박 대통령을 비롯해 최양희 미래부 장관, 유정복 인천시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 등이 참석했다. 이번 인천혁신센터를 끝으로 정부는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의 혁신센터 구축을 모두 끝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5-07-23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