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 주택 10채 가운데 6채, 청년층에게 ‘그림의 떡’

서울 주택 10채 가운데 6채, 청년층에게 ‘그림의 떡’

류찬희 기자
입력 2016-01-20 09:55
업데이트 2016-01-20 09: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년층에게 서울에 있는 주택 10채 가운데 6채는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0일 국토연구원이 내놓은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보고서의 내용이다. 보고서는 2011∼2020년 경제성장률을 3.6%로 보고, 2014년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25∼29세인 청년이 10년 뒤 서울에서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이 56.4%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수도권에 사는 35∼39세의 월 소득이 342만 9000원, 순자산은 1억 453만원이라고 할 경우 소득과 자산, 주택담보대출 등을 고려했을 때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은 3억 8421만원이라고 추정한 결과다.

 같은 방법으로 추정했을 때 35∼39세가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은 경기 83.7%, 인천 96.1%였다. 비수도권(부담 가능 주택가격 3억 5224만원)은 울산 87.5%, 대구 89.0%, 부산 92.0%, 광주 97.4% 등이다.

청년층이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의 비율은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 급격히 줄었다. 원래 추정보다 경제성장률이 5% 가량 둔화해 청년층의 소득증가율이 낮아지면 서울의 주택 가운데 35∼39세가 살 수 있는 주택은 47.8%로 떨어진다.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는 것에 더해 상용근로자 비율이 5% 포인트 줄어들면 35∼39세가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 3525만원으로 하락, 서울에 있는 주택 가운데 46.4%만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률과 상용근로자 비율 하락, 여기에 월세가구 비중이 5%포인트 증가해 청년층의 순자산이 추가로 감소하면 35∼39세가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은 40.8%에 머물렀다.

이수욱 선임연구위원은 “하방경직성이 있어 집값은 급락이 없고 일반적으로 오른다”며 “이번 연구는 집값이 오르지 않아도 서울에 있는 집 가운데 절반을 청년이 살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주택시장 안정은 부담가능한 가격의 재고물량이 있을 때 유지된다”며 “주요 수요자인 청년이 접근할 주택의 안정적 공급이 없는 월세대책은 주택시장 회복에는 기여하나 안정에는 기여할 여력이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