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취업자 결혼확률 미취업자보다 5배 높다

男취업자 결혼확률 미취업자보다 5배 높다

입력 2016-05-02 11:06
업데이트 2016-05-02 1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경연 “미취업기간 1년 늘면 결혼 4.6개월 늦어져”

취업자의 결혼 가능성이 미취업자보다 남성의 경우 5배, 여성은 2배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일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과 노동시장개혁에 대한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임 연령기에 있는 15세부터 49세 사이의 남녀를 대상으로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취업자의 결혼 가능성은 미취업자의 약 4.9배, 여성은 약 2.1배 높았다.

또 남녀 모두 미취업기간이 장기화할수록 초혼연령도 늦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의 경우 미취업기간이 1년 늘어나면 초혼연령은 4.6개월 늦어졌으며, 여성의 경우도 미취업기간이 1년 길어지면 초혼연령은 약 1.9개월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15세부터 29세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취업은 결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취업 시 결혼 가능성은 미취업일 때의 약 3.5배, 여성의 경우는 1.5배 높았다. 또 남성의 경우 미취업기간이 다른 사람보다 1년 늘어나면 초혼연령은 약 3개월 늦어졌다.

한경연 유진성 연구위원은 “향후 비혼과 만혼 문제를 완화하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취업기회 확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며 “특히 대내외 경제환경이 어렵고 저성장 기조가 심화되면서 일자리 창출 여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노동시장개혁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