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디지털 시대 GDP 한계… 새 지표 만들 것”

이주열 “디지털 시대 GDP 한계… 새 지표 만들 것”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6-05-25 22:50
업데이트 2016-05-25 2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튜브 강좌 등 효용성 높은데 GDP는 감소… 신뢰도 떨어져 0.1%P 차이가 무슨 의미 있나”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인터넷, 공유서비스 등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국내총생산(GDP) 통계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며 새로운 지표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 나라의 경제성장률은 통상 GDP 증가율로 따지기 때문에 GDP 통계가 정확해야 나라 경제를 제대로 볼 수 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경제동향 간담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GDP 통계의 한계점을 언급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 총재는 “품질 차별화가 가능한 서비스업 비중의 증가, 디지털 경제 확대 등으로 신뢰성이 점차 하락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특집 기사를 인용해 학원에 가지 않고 유튜브를 통해 무료로 강좌를 들으면 효용성이 높아지지만, GDP는 오히려 감소한다고 소개했다. 또 차량 공유 서비스인 ‘우버’ 등은 기존 택시와 차이가 별로 없지만, GDP에 잡히지 않고 온라인 쇼핑, 인터넷뱅킹 서비스 등이 소비자의 후생을 증진하지만 이로 인한 시설 투자의 감소로 GDP가 하락한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프랑스 정부가 2008년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를 주축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GDP의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한 사실도 언급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양보다 질적인 개념으로의 전환을 강조하고 경제성장에 환경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최근 GDP 전망이 새로 발표될 때마다 관심이 매우 높은데 GDP 0.1∼0.2% 포인트의 차이가 과연 어느 정도의 의미가 있는 것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GDP 수치 이면의 의미를 읽어 내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GDP 통계에 지나치게 매달리는 태도를 경계하자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총재는 “GDP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은 앞으로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 더 확대될 것”이라며 “한국은행은 앞으로 GDP 통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신뢰성을 제고하는 데 부단히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전날 올해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2월 제시한 3.0%에서 2.6%로 0.4%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지난주 한국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1%에서 2.7%로 낮췄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5-26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