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 승인 물량 감소세 전환

아파트 분양 승인 물량 감소세 전환

류찬희 기자
입력 2016-05-26 11:41
업데이트 2016-05-26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토부, 4월 4만3655가구…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 줄어

 지난달 아파트 분양 승인 물량이 감소했다. 올해 들어 월간 주택 분양 승인 물량이 줄어든 것은 처음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공동주택 분양 실적 집계 결과 4만 3655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1.1% 줄었다고 밝혔다. 누계 기준으로는 4.0% 감소한 10만 8287가구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월별 분양 승인 물량 증감율은 1월(전년동월대비 31.3% 감소) 이후 3개월만에 감소세로 전환됐고, 누계기준도 전년대비 감소세로 돌아섰다. 수도권은 1만 7008가구로 전년동월대비 48.3% 감소했고, 지방은 2만 6647가구가 분양돼 18.5% 증가했다. 아파트 분양 물량 감소는 아파트 과잉공급에 따른 건설업체의 자율조정과 ‘4·13총선’기간을 피해 분양 시기를 조절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단기간 집계인데다 인허가 물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어 분양 물량 감소 추세가 계속될지는 미지수다. 실제 지난달 주택 인허가 물량은 5만 9675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2% 증가했고, 누계기준으로도 30.9% 늘어난 22만 2684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2만 7169가구로 5.0% 감소했지만, 지방은 3만 2506가구로 43.0%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4만 1295가구로 작년보다 40.0% 늘었고 아파트 외 주택은 1만 8380가구로 15.9% 줄었다.

 한편 미분양주택은 수도권에서는 감소하고 지방에서는 증가했다. 4월 말 전국 미분양주택은 5만 3816가구로 전월보다 29가구(0.1%) 감소했다. 수도권은 2만 2345가구로 955가구(4.1%) 줄었지만 지방에서는 3만 1471가구로 926가구(3.0%) 늘어났다. 전남(637가구)·충북(500가구)·전북(475가구) 등에서 미분양주택이 많이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도 늘었다. 4월 말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1만 525가구로 전월보다 7가구(0.1%) 증가다. 지방에서 3764가구가 증가한 243가구(6.9%)로 집계됐고, 수도권은 6761가구로 236가구(3.4%) 감소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