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해외법인 18%, 조세피난처 의심국에 운영”

“롯데그룹 해외법인 18%, 조세피난처 의심국에 운영”

입력 2016-06-23 09:19
업데이트 2016-06-23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만기업연구소 해외법인 256곳 분석

검찰 수사를 받는 롯데그룹이 해외법인 256곳 가운데 46곳(18%)을 이른바 조세피난처 의심 국가에 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2만기업연구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롯데그룹 해외법인은 총 256곳으로 작년보다 6곳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해외법인 중 절반에 가까운 108곳(42.2%)이 중국(홍콩 포함)에 소재한 것으로 파악됐다. 유통·석유화학 사업에 집중하는 롯데가 중국을 해외사업의 전진기지로 삼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다음으로는 베트남(23곳), 미국(17곳), 인도네시아(17곳), 말레이시아(16곳), 카자흐스탄(11곳) 순이다.

롯데그룹은 조세피난처로 의심되는 나라에도 46개 법인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만기업연구소는 롯데가 해외법인을 둔 조세피난처 의심국으로 홍콩(26곳), 싱가포르(9곳), 네덜란드(5곳), 케이만군도(3곳), 룩셈부르크·모리셔스·영국령 버진아일랜드(각 1곳) 등을 들었다.

홍콩에는 롯데마트 차이나가 100% 지분을 확보한 법인 8곳을 두고 있다.

버진아일랜드에는 지난해 해외법인 9곳이 있었는데 올해는 1곳으로 확 줄었다.

네덜란드에는 호텔롯데가 출자한 롯데유럽홀딩스가 있다. 유럽홀딩스는 러시아에 현지호텔 등 계열사 4곳을 두고 있다.

네덜란드는 법인세율이 낮아 절세 목적으로 기업들이 해외법인 설립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이 연구소는 전했다.

롯데그룹 해외법인 중 71곳은 롯데쇼핑이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쇼핑은 룩셈부르크 코랄리스를 비롯해 중국(홍콩 포함), 미국,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의 법인 10곳에 직접 출자한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쇼핑홀딩스 싱가포르와 롯데쇼핑홀딩스 홍콩은 다수의 자회사를 거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쇼핑홀딩스 홍콩은 27개 회사를 중국과 케이만군도 등에 운영 중이다. 케이만군도 법인과 상하이 법인은 복잡한 지배구조와 출자관계로 얽혀있다.

이 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대기업들이 홍콩에 해외법인을 두는 경우가 많다”면서 “홍콩과는 아직 조세협정을 체결하지 않아 사정기관이 자료 등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롯데그룹 측은 “롯데의 해외법인 중 일부가 조세회피지역에 존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사업을 위해 설립한 것도 있지만, 대부분 2009년 이후 인수한 해외 회사들이 롯데가 인수하기 전부터 이미 운영해왔던 것으로 롯데가 직접 설립해 운영한 회사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롯데그룹은 “대표적으로 중국 마트 체인점인 타임스(현 중국 롯데마트)가 있으며 이 회사의 경우 중국 현지의 까다로운 규제로 인해 많은 점포가 해외에 법인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었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