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Q 치킨값 인상 포기…“사회주의 국가냐” vs “정부가 잘 했다”

BBQ 치킨값 인상 포기…“사회주의 국가냐” vs “정부가 잘 했다”

입력 2017-03-15 16:37
업데이트 2017-03-15 16: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치킨업계 1위인 BBQ치킨이 치킨값을 올리려다 정부의 압력으로 전격 철회하자 정부 개입 방식의 적정성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BBQ는 15일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정부에서 (가격 인상과 관련한) 요청이 들어올 경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치킨값 인상 계획을 철회했다.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에 BBQ의 치킨값 인상 계획이 전해지자 “치킨 가격을 올릴 이유가 없는데도 프랜차이즈 업체에서 가격을 올릴 경우 부당이득을 취한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국세청에 세무조사를 의뢰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농식품부는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경우 시세 연동 방식이 아닌 사전 계약을 통해 6개월 혹은 1년 단위로 닭고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최근 닭고깃값 상승을 이유로 치킨값을 올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여론도 BBQ에 우호적이지 않았다.

한 누리꾼은 “닭고기 원가가 오르지 않았는데도 AI 핑계로 가격을 올리는 것은 전형적인 꼼수”라면서 “민간기업들의 이런 행태에 대해 정부가 적절히 개입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다른 누리꾼은 “정부가 오랫만에 제대로 일을 하고 있다”고 칭찬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15일 여의도에서 열린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 주재 오찬간담회 불참 의사까지 밝히며 정부 방침에 저항하는 듯하던 BBQ는 결국 세무조사 가능성까지 언급한 정부의 서슬퍼런 ‘협박’과 부정적인 여론의 흐름에 백기 투항을 했다.

치킨업계 관계자는 “가격을 올리면 세무조사까지 하겠다는데 버틸 기업이 있겠느냐”며 “BBQ가 가격 인상 계획을 철회한 것은 정부의 압력 때문이라는 것이 상식적 견해”라고 말했다.

식품·유통업계 안팎에서는 민간 기업의 가격 조정 결정에 정부가 세무조사 카드까지 꺼내 들며 개입하는 것이 과연 온당한지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BBQ가 업계 1위이긴 하지만 시장독점적 사업자도 아니고 공기업도 아닌데 상품의 가격을 조정하는 것까지 정부가 이래라저래라 하는 것은 행정권 남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모든 가격을 정부가 통제하는 사회주의 국가도 아닌데 시장경제의 자연스런 활동인 민간기업의 가격 결정까지 정부가 개입해 이래라저래라 하는 것은 지나친 것 같다”고 말했다.

김영세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BBQ가 시장독점적 사업자나 공기업도 아닌데 정부가 세무조사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민간기업의 가격 결정에까지 개입하는 것은 과도한 간섭”이라며 “시장경제의 원칙에도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논란이 커지자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물가가 시장에서 조절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한 발 빼는 모습을 보였다.

김 장관은 “전직 차관들에게 저녁 자리에서 ‘물가가 오르면 시장에서 조절하는 게 바람직한 방향인데 정부가 (규제의) 칼을 들었다’는 질책을 들었다”며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