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중 8명 국내로 여름 휴가 간다

우리 국민 10명 중 8명 국내로 여름 휴가 간다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6-27 10:52
업데이트 2018-06-27 1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원도 인기…평균 지출액은 25만9천원, 지난해보다 3천원 증가

이미지 확대
서울 여의도 물빛광장이 물놀이를 즐기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물빛광장이 물놀이를 즐기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우리나라 국민의 55.2%가 여름 휴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82.6%는 국내 여행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국민 1천105명을 대상으로 ‘2018년 하계휴가 실태조사’를 한 결과과 이같이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올해 여름 휴가 여행을 계획했다는 응답자는 55.2%로, 지난해 조사 결과(52.1%)와 비교했을 때 3.1%포인트 증가했다.

휴가 계획이 없는 국민은 하계휴가를 가지 않는 이유로 여가 시간 및 마음의 여유 부족(76.1%), 건강상의 이유(15.3%), 여행비용 부족(12.1%), 돌봐야 할 가족(5.2%) 등을 꼽았다.

여름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응답자의 휴가 목적지로는 국내 82.6%, 해외 12.2%로 나타났다.

국내 여행을 계획한 응답자의 방문 목적지는 강원도(32.1%)가 1순위였다.

경남(12.7%), 경북(10.4%), 전남(9.9%), 경기도(9.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출발 시기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85.5%가 집중됐다.

일자별로는 토요일인 7월 28일이 20.3%로 가장 많았고, 7월 27일 8.0%, 8월 3일 7.7%, 8월 2일 6.8%로 순으로 나타나 7월 말에서 8월 초에 여름 휴가 여행객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의 예상 지출액은 평균 25만 9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3천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보다 20만 원 이상∼30만 원 미만(30.5% → 29.8%), 30만 원 이상∼50만 원 미만(30.3% → 19.5%) 지출 예정자가 감소한 반면 50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8.6% → 12.8%), 100만 원 이상(1.3% → 2.4%) 지출 예정자가 늘어나 평균 지출액이 증가했다.

10만 원 미만(0.4% → 2.6%)과 10만 원 이상∼20만 원 미만(29.0% → 32.9%) 지출 예정자도 증가해 국내 여행의 영역이 고급(럭셔리) 여행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알뜰 여행 모두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름 휴가 기간은 2박 3일(40.9%)이 가장 많았고, 1박 2일(28.9%), 3박 4일(18.5%)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보다 2박 3일은 44.0%에서 40.9%로 3.1%포인트 감소한 반면 3박 4일은 15.8%에서 18.5%로 2.7%포인트 증가했다.

평균 휴가 기간도 2.9일에서 3.1일로 늘어나 전반적으로 여름 휴가 기간이 늘어나고 있다고 문체부는 분석했다.

국내로 여름 휴가를 떠날 때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자가용(78.0%)이 가장 많았다.

비행기(8.6%), 철도(4.7%), 고속·시외버스(4.3%) 등이 뒤따랐다.

숙박시설은 펜션(37.5%)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가족·친지집(17.7%), 콘도미니엄(12.0%) 등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관광공사와 함께 7∼8월 국민이 휴가를 사용해 여름 국내 여행을 다녀올 수 있도록 여름 캠페인을 전개한다.

여행주간 누리집(travelweek.visitkorea.or.kr)에 여름 휴가철을 맞이해 여름 휴가의 주요 제약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여행 유형을 제시한다.

또 나만의 재치 있는 휴가사유를 공유하는 ‘유휴~ 천하제일 휴가사유 대회’와 여름 휴가로 다녀온 국내 여행에 대한 감상을 담은 ‘유휴~ 휴가지 여행시 공모전’도 진행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