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흑백의 핏빛 상처 지워낸 남아공, 이제 ‘마디바’를 보낸다/이윤 주남아공 대사

[특별기고] 흑백의 핏빛 상처 지워낸 남아공, 이제 ‘마디바’를 보낸다/이윤 주남아공 대사

입력 2013-12-07 00:00
업데이트 2013-12-0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윤 주남아공 대사
이윤 주남아공 대사
5일 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시간은 한순간 멈췄다.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이 전해진 것이다. 만델라 전 대통령이 결국 그들 곁을 떠나리라는 것은 모두 알고 있었지만, 막상 서거 소식을 접하자 남아공인들은 망연자실했다. 온 국민이 어버이를 잃은 충격에 빠진 것이다.

운명적 사태는 지난 6월 8일 만델라 전 대통령이 프리토리아 시내 메디클리닉 병원에 입원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남녀노소, 인종과 종교의 차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매일 병원 앞에 모여 밤을 지새우며 ‘마디바’(만델라 전 대통령에 대한 애칭)의 쾌유를 기원했다. 병세가 악화되자 남아공인들은 이제 마디바를 편안히 보내드리자고 마음을 바꿔 먹었고, 몇 개월이 지난 오늘 끝내 마디바의 영면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만델라 전 대통령은 1918년 7월 18일 남아공의 남동쪽 음베조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95세의 생애 가운데 27년을 감옥에서 보내면서 인종 차별의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를 무너뜨리고 남아공의 민주화를 이끌었다. 올바른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 앞에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 나와는 다른 상대방을 인정하고 가해자를 용서하는 관용,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 욕심을 버리고 남을 배려하는 절제 등이 만델라 전 대통령이 평생 실천한 삶의 방식이었다.

만델라는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 대항하여 무장 투쟁을 주도하다 1962년 체포돼 재판을 받는다. 그는 최후진술에서 “나는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기회를 갖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사회를 꿈꾸어 왔다. 나는 이러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살기를 원하지만, 필요하다면 이를 위해 죽을 준비도 되어 있다”고 말한다. 이 한마디는 만델라의 일생을 관통한 원칙이며, 만델라는 평생 이를 몸소 실천한다.

석방 후 만델라는 그를 핍박한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와 민주화 협상을 진행해 1994년 민주 정부를 탄생시킨다. 폭력과 혼돈이 난무하는 4년간의 과도기 동안 만델라는 인내심과 지도력으로 흑백 양측을 설득하여 모든 인종이 공존하는 무지개의 나라, 새로운 남아공을 만들어낸다.

이제 만델라 전 대통령은 남아공인들에게 자랑스러운 민주 국가를 남겨 주고 영면했다. 현실이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높은 실업률, 극심한 빈부 격차, 빈발하는 범죄와 사회 불안 등 어려움이 있다. 일각에서는 흑백 화합이 동요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하지만 남아공인들은 이를 부인한다. 지난 20여년간 흑백이 함께하는 공존의 문화가 자리 잡았다. 더구나 인종 차별의 상처가 없어 당당하고 자유로운 ‘본 프리’(born free) 첫 세대가 성년으로 성장해 사회의 주역이 되고 있다. 남아공인들은 만델라 전 대통령이 남긴 위대한 유산인 관용과 화합의 정신을 받들어 아름다운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

2013-12-07 5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