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여는 아침] 분열과 동맹 파기의 대가

[고전으로 여는 아침] 분열과 동맹 파기의 대가

입력 2016-02-23 18:14
업데이트 2016-02-23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리스 도시국가들은 세 차례의 페르시아 전쟁에서 승리하고 난 기원전 5세기 중엽 평화와 번영을 구가했다. 하지만 눈앞에 있던 공동의 적이 사라지자 내부에서 새로운 위기가 싹텄다. 그리스 전체의 패권을 잡기 위해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격돌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그리스 도시국가들은 민주정을 추구하던 아테네가 주축이 된 아테네 동맹과 과두정을 채택한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뭉친 펠로폰네소스 동맹으로 나뉘어 대립했다. 두 진영이 각 정치체제를 확장해 나가면서 펠로폰네소스 전쟁(BC 431~BC 404)을 불러왔다. 투키디데스(BC 460?~BC 400?)는 이 참화를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증언했다.

전쟁은 온갖 무자비한 살상과 파괴를 낳았고 숱한 도시들을 희생양으로 삼았다. 아테네의 혈맹인 그리스 중부 지방의 도시 플라타이아는 중부 지방 보이오티아 연맹의 맹주인 이웃 도시 테베와 맞섰다.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은 테베는 아테네가 다른 전선에 몰두하는 동안 오랜 앙숙인 눈엣가시 플라타이아를 계속 공격했다. 테베의 줄기찬 공략과 회유에 지친 플라타이아의 유력자들은 아테네와의 동맹을 파기하고 몰래 테베와 평화협정을 맺고는 성문을 열어 테베인들을 받아들였다.

뒤늦게 테베인의 세력이 크지 않음을 알게 된 플라타이아인들은 성안의 테베인들을 살해했지만 상황을 돌이킬 수 없었고 결국 테베의 동맹국 스파르타군의 봉쇄 작전에 굴복했다. 스파르타인들은 항복한 플라타이아인들을 모조리 붙잡아 약식재판에 회부했다. 재판관들은 스파르타와 그들의 동맹군에게 도움을 준 적이 있느냐는 짧은 질문을 던지고, 그런 적이 없다고 대답하는 자를 모두 죽였다.

투키디데스는 이 참극들이 지도층의 ‘탐욕과 야심에서 비롯된 권력욕’에 기인했다고 말한다. “정파 지도자들이 반대파를 누르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극단적인 잔혹 행위를 일삼았으며, 정의나 국익 대신 그때그때 자신이 속한 정파를 즐겁게 해 주는 것만을 행동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플라타이아는 아테네의 동맹국이 된 지 93년 만에 처참하게 끝장났다. 시민들의 분열과 동맹 파기의 대가였다. 적을 앞에 두고 내부 분열보다 무서운 적은 없다. 한·미 동맹과 북·중 동맹이 부딪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 흘려들을 얘기가 아닌 듯싶다.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kipeceo@gmail.com
2016-02-24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