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벨상 ‘0’인 한국에 대한 네이처의 일침

[사설] 노벨상 ‘0’인 한국에 대한 네이처의 일침

입력 2016-06-03 21:10
업데이트 2016-06-03 2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가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한 명도 내지 못한 이유를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지가 조목조목 짚었다. 기초연구의 장기 투자에 인색하고 토론이 적고 경직된 연구실 문화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뼈아픈 지적이지 않을 수 없다. 네이처지의 충고를 허투루 흘려서는 안 된다. 천문학적인 연구개발(R&D)비를 쓰고도 왜 우리는 과학계의 변방에 머물러야 하는지 깊은 자성과 함께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책이 나와야 한다.

네이처지가 내놓은 첫 번째 충고는 기초연구에 소홀하다는 것이다. 당장 ‘돈’이 될 수 있는 반도체, 통신, 의료응용 분야 등에만 관심이 있고 수십 년 동안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한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는 뒷전인 게 사실이다. 시류에 편승해 선진국의 과제를 그대로 따라가는 연구 풍토에서는 독창적인 성과가 나올 리가 만무다. 정부가 뒤늦게 연구개발 혁신 방안을 마련하면서 대학이 기초연구에 매진하도록 한 것도 다 그래서다.

하지만 기초과학 연구를 대학에만 맡길 게 아니다. 기업도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초 분야에 투자해야 한다. 2002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일본의 다나카 고이치도 기업의 연구원이었다. 이 기업은 당시 한 해 연구개발비가 80억엔인데 그중 30억엔을 사업과 관계없는 기초과학 연구비로 썼다고 한다. 일본이 지난해까지 과학 분야에서 21명의 수상자가 나올 수 있었던 배경도 기초과학 분야의 육성 정책이 바탕이 됐기 때문이다.

상명하복식의 경직된 연구실 문화는 참으로 부끄러운 지적이다. 과학을 한다는 연구자들이 활발한 토론도 없고 줄 세우기식 연구실 분위기에서 숨 막히게 일하다 기껏 스트레스를 푼다며 밤늦게까지 어울려 술 마시는 문화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수가 없다. 이런 문화가 여학생들의 연구활동 진입에 장애물이 되면서 연구의 다양성을 가로막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지난해 R&D 예산은 86조원에 이른다. 미국 등에 비하면 적다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R&D의 비중은 세계 1위다. 그런데도 노벨상은커녕 논문수도 형편없이 적은 것은 ‘헛돈’ 쓰고 있는 것을 여실히 보여 주는 셈이다. 엄청난 예산을 어떻게 배분하고, 제대로 잘 쓰는가가 중요하다. 무엇보다 연구자들이 한 우물을 파며 연구에 정진할 수 있도록 연구 문화 풍토부터 확 바뀌어야 한다.
2016-06-0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