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우수(雨水) 단상/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우수(雨水) 단상/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6-02-23 18:12
업데이트 2016-02-23 19: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좋은 비는 시절을 안다’(호우지시절·好雨知時節)는 두보의 시 ‘춘야희우’(春夜喜雨)의 첫 구절이다. 두보가 50세 무렵 쓰촨성 청두에 4년간 머물 때 지은 시라 한다. 이때 두보는 직접 농사를 지으며 그의 생애에서 가장 여유로운 전원생활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반가운 봄비를 맞는 농부이자 시인의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얼마 전 내린 비가 겨울비인지 봄비인지, 이슬비인지 보슬비인지 모르겠으나 ‘소리 없이 촉촉이 만물을 적셔’(윤물세무성·潤物細無聲) 주었다. 지난 19일은 눈이 녹아 빗물이 된다는 우수(雨水)였다. 다음달 초면 개구리가 잠에서 깬다는 경칩이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이 있다. 계절은 바야흐로 겨울에서 봄으로 가며 생명의 싹을 틔우고 있다. 여기저기서 겨울잠에서 깨어나 생명의 기지개를 켜는 소리가 들린다.

하지만 시국은 거꾸로다. 남북 관계가 북한의 핵·미사일 발사로 꽁꽁 얼어붙었다. 지금으로선 영영 봄이 오지 않을 것 같은 분위기다. 이 차가운 관계가 꽃샘추위에 그치고 ‘우수 뒤의 얼음같이’ 슬슬 녹아 버리면 얼마나 좋을까. 북이 바뀌지 않는다면 헛된 기대이리라.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6-02-24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