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처음처럼’/강동형 논설위원

[씨줄날줄] ‘처음처럼’/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6-01-17 23:04
업데이트 2016-01-18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처음으로 하늘을 만나는 어린 새처럼, 처음으로 땅을 밟는 새싹처럼 … 겨울 저녁에도 마치 아침처럼, … 처음처럼, 언제나 새날을 시작하고 있다. 산다는 것은 수많은 처음이 만들어 가는 끊임이 없는 시작입니다.’

쇠귀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지난 15일 파란만장한 생을 마감했다. 그는 20년 20일을 옥살이하는 동안 깊은 사색과 성찰을 통해 시대의 아픔을 지성으로 승화시켰다. 처음 세상에 나온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은 가족과 주고받은 편지와 엽서를 모은 것이지만 그의 통찰은 사람들에게 힘과 용기를 줬다.

그가 만든 서체를 ‘쇠귀체’라고 한다. 글씨가 조화롭고 단아하며 서민적이라는 평이다. 여기에 생명을 불어넣는 건 그 글이 가지고 있는 사색의 깊이에 있다. 우리는 소주의 브랜드 이름으로 ‘처음처럼’을 기억하지만 ‘처음처럼’에는 그가 겪은 모진 풍상과 삶에 대한 사색이 담겨 있다. 그는 소주 회사 관계자가 찾아와 ‘처음처럼’을 사용하겠다고 했을 때 흔쾌히 허락했다고 한다. 호사가들은 선생이 많은 돈을 받았을 것이라는 뒷담화를 하곤 했는데 후에 안 사실이지만 한 푼도 받지 않았다. 소주 회사는 매출이 크게 늘자 보답으로 선생이 재직하고 있던 대학에 1억원을 기부했다고 한다.

선생은 쇠귀체의 모태는 어머니의 편지였다고 고백했다. 서예 연습을 하다 감옥에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단아하면서도 사랑이 가득 담긴 서툰 글씨를 모티브로 쇠귀체를 완성했다고 한다.

유명세를 탄 그의 글과 서체는 길을 걷다가 우연히 마주친다.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가장 먼저 반기는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는 글씨도 선생의 작품이다. ‘더불어 숲’이나 조정래의 장편소설 ‘한강’의 표지글도 쇠귀체다. 최근에는 영화나 드라마 제목으로도 쇠귀체가 인기다.

선생의 지성은 글에서도 번득인다. 국내 여행기를 모은 ‘나무야 나무야’에서 황희 정승이 노년을 보낸 반구대와 한명회가 세운 압구정을 비교하면서 ‘역사는 우리가 맡기지 않더라도 어김없이 심판한다’고 담담하게 얘기한다. 그는 옥살이를 하던 목수가 집을 지붕이 아닌 주춧돌부터 그리는 모습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깨치기도 한다.

그의 사상을 한마디로 압축한다면 ‘더불어 사상’ ‘함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선생은 정치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굳이 하나를 소개한다면 “정치는 국민들이 재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어야 한다. 정권 창출이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글이다.

정치의 계절이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선생의 얘기에 귀를 기울여 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선생의 병마가 햇볕을 쬐지 못해 생긴 피부암이라는 게 안타깝다. 선생의 명복을 빈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1-18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